천만 관객을 돌파했었던 영화 ‘인터스텔라’를 기억하시나요?
인터스텔라는 아름다운 영상미와 스토리 특유의 재미뿐만이 아니라
실제 우주 과학에 기반을 두고 제작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어렵게만 느껴졌던 우주과학에 대한 사람들의 흥미를 이끌어내는 데도 성공했습니다.
과학이 녹아든 소설, 영화, 드라마 같은 대중문화는 점점 더 많아지고 있죠.
사실 대중문화에서 나타난 과학을 관찰하면 엄청난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를 깨닫지 못하고 있습니다.
서울대에는 이공계열 학생들과 인문사회계열 학생들이 함께 듣는 교양 수업이 있는데
이 수업에서는 대중문화를 통해 과학과 우리 사회의 관계를 분석한다고 합니다.
이 강의를 담당하는 과학철학자이자, 소통하는 과학기술학자 홍성욱 교수는 이렇게 말합니다.
어떤 과학에 기반을 둔 영화가 나왔을 때 흔히 SNS에서 사람들의 반응을 보다보면
여러분들도 아마 이런 댓글을 한 번쯤은 보셨을 겁니다.
‘전공자로서 말씀 드립니다.
이 영화에서 이 부분은 사실과 다릅니다.’
주로 과학을 전공한 학생들이 이런 댓글을 많이 달곤 합니다.
과학 기반의 영화를 보며 영화 속 디테일에 대해 틀린 점을 찾는 걸 좋아하고
또 과학적 사실이 얼마나 들어맞는지에 따라 작품을 평가하는 것이죠.
물론 과학에 무관심하고 대충 검증하는 대중문화 생산자들도 문제가 있지만
모든 것을 과학적 설명의 완결성을 통해서만 평가하려는 태도에도 문제가 있긴 마찬가지입니다.
이는 문화를 마치 과학의 일부로 생각한다는 뜻이기 때문이죠.
인공적으로 생명을 만들어내는 일은 과학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고전 ‘프랑켄슈타인’ 같은 작품은 과학적으로 완전히 틀렸고 읽을 가치조차 없다고 말하는 것과 같습니다.
그러나 이는 오만한 태도입니다.
대중문화 속 과학에 대해 맞다/틀리다를 논하기 보다는 과학과 인문학이 만나는 접점들을 찾아 과학의 일부가 녹아든 대중문화가 대체 세상에 대해서 무슨 얘기를 하고 있는지
또 작가는 이를 통해 어떤 메시지를 주려고 했는지
이것이 오늘날의 세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는 것이 훨씬 더 중요한 일입니다.
책 속에서 제가 소개하는 다양한 소설 작품과 영화를 보면서
우리가 한 번쯤 고민해 보아야 할 우리 삶과 직결된 과학적 쟁점들에 대해 고민하고 토론해보세요.
생명 윤리, 프라이버시, 인간과 사이보그의 경계에 대한 문제 등
과학의 패러다임이 급변하는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겐 이론과 수식에서 벗어나
과학을 문화와 사회적 맥락 속에서 생각하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과학기술이 발전해갈수록
그것이 대중문화에서 어떻게 표현되는지 알아야
먼저 기회를 찾아내고 잡을 수 있으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