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 747

[응답]야외도시락 도움좀 주세요 이정표님외 여러분께 도움 청합니다


BY yjp441030 2001-04-06

-----------------------------------------
woo2780님의 글입니다

야외 도시락 반찬 맛있고 색깔도 예쁘고 무엇이 좋을까요 신경을 써야 되는 도시락인데 생각지도 못하다가 갑자기 맡게 되어서 당황스러운데 여러사람이 모여서 먹는거라 시각도 무시 못할것 같아요 만드는 법과
무얼하면 좋을지 의견좀 보내 주셔요 급해요
고기는 어떻게 해야 식어도 맛있는지 도

-----------------------------------------

우리집 아이들 꼬맹일적에 도시락 싸들고 창경원

벗꽃 나들이 갔던 옛일이 아련히 떠오르게

하는군요... 그때가 좋았었는데..!!!!!!!!!!


★ 전 거리 준비해 볼까요? ★

쇠고기(기름끼 없는부위. 얆은 로스구이 두께.길이)
느타리버섯
연근
야채전(깻잎.풋고추.부추.실파.)

◐ 만들기 ◐

㉠. 쇠고기는 간장.후추.설탕약간.참기름.다진마늘

로 쪼물쪼물 밑간을 하여 고기를 고르게 펴서

찹쌀가루에 뭍혀 후라이팬에 식용유를 조금씩 두르고

노릇노릇하게 부쳐낸다.

㉡. 느타리 버섯은 냄비에 물을 붓고 펄펄 끓으면

소금을 약간 넣고 버섯을 잠깐만 데쳐 내어 찬물에

헹군후 물끼를 꼭짜서 큰것은 반으로 칼집을넣어

넓게 만들어 소금과 참기름으로 조물조물 무친후

밀가루 옷입혀 계란물에 젂신후 가장자리를 깨끗

하게 부쳐 낸다.

㉢. 연근은 냄비에 물과식초 약간을 붓고 끓는물에

살짝 데쳐 내어 찬물에 헹군후 밀가루나 찹살가루

에 물을 부어 멍울이 없을때 까지 고루저어 옷을 만들

어 입힌후 노릇노릇하게 지져 낸다.

㉣. 야채는 깨끗히 다듬어 씻은후 물끼를 제거하여,

깻잎은 돌돌말아 가늘게 채썰듯 썰고,부추와실파는

한 2-3㎝ 정도되게 잘라 놓고,청고추.홍고추는 (맵지

않은것)씨를 빼고 잘게 다지듯 썰어둔다.

밀가루에 계란물과 카레가루를(조금만) 섞어 주루룩

흐를 정도의 농도로 만들어 몽울이 없을때까지 저어

위의 야채를 모두넣고 간은 소금으로 마춘후 수저로

한수저씩 떠서 식용유를 조금씩만 두른후 노릇노릇

하게 지져낸다.


◈ 소고기 불고기 볶기 ◈

기름기 없는 부위로 준비해서 불고기양념을 한후

조물조물 무쳐줄때 녹말가루를 조금만 넣고 무친후

버섯 종류를 골고루 많이 넣어 달달 볶아 주면

식어도 윤기가 돌면서 여러가지 버섯과 같이 곁들이니

먹을때 부담이 없다.

▣ 새우 졸이기 (중하) ▣

㉠.새우를 구입해서 가위로 긴 수염은 제거해주고,

잔등위에 내장은 이쑤시개로 걷어 낸다.

㉡. 배쪽으로 칼집을 좀넣어 주어 새우 등을 평평하게

해준후 흐르는 물에 깨끗히 씻어 찜통에 껍질이

빨갛게 될때까지만 쪄준다. 너무 오래 찌면 살이

단단해져서 맛이 덜하다.

두꺼운 후라이팬에 간장.설탕약간.참기름.후추.물엿

케챱약간을 넣고 팔팔 끓거든 불을 줄이고 쪄두었던

새우를 후라이팬에 넣고 소-스를 끼얹어 가며 윤기

나게 졸여 낸후 꼬리쪽을 은박지로 감아주어 담는다.

※ 간장을 사용할때 日本간장 "기꼬망" 을 사용하면

짠맛이 덜해 좋긴한데 ......

㎰: 계란물을 사용할때는 반듯이 채에 한번내려

알끈을 없앤후 전을 부쳐야 가장자리가 깨끗히

부쳐진다.

하얀필림통 같은곳에 초간장 or 와사비간장을 만들어

간다.

## 나물 종류에 미삼 한번 무쳐 볼까요 ? ##


요즘 시장가면 잘잘한 미삼이 많이 나와 있던데

구입하셔서 수염은 조금 제거해 주고 깨끗히 씻어

찜통에 베보를 깔고 아주 살짝만 쪄내어 채반에

담아 물끼까 빠지도록 차게 식힌후 넒은 볼에 넣고

초고추장 (고추장.다진마늘.다진파.설탕.통깨.식초

참기름.물엿약간)으로 살살 버무려서 담는다.싱거우면

소금으로 간을 마춘다.

도시락 뚜껑을 열면 인삼냄새가 확∼ ~ ∼ 하니 풍겨

고급스러움을 한층 높여 준답니다.

* * * * * * * * * * * * * * * * * * * * *

♬ 宅에서 솜씨내어 예쁘게 만들어 놓은것과

곁들여 맛있게 만들어서 모양있게 담아 즐거운

야외 나들이가 되시길 바랍니다. ♪ ♧ ♥ ☜


* 우이동 이정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