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는 [www.0to7.com]에서 퍼온 글입니다
언론의 횡포에 작은 힘이나마 모아서 맞섭시다...
이 글을 읽으시는 분들은 널리 널리 알리시길 바랍니다.
6월 22일 저녁 9시 뉴스에 나온 서울대병원 소아암병동의
암환자 부모입니다.
전국의 여러 병원의 파업에도 불구하고 저희 병동에는
정상적으로 입원, 퇴원이 반복되면서 스케쥴대로의
항암치료를 잘 받고 있습니다.
치료는 물론 어린이병원학교의 교육도 정상적으로 이루어 지고 있지요.
어제는 음악시간에 하프 선생님이 오셔서 기분좋게 아이들과 하프연주를 듣고 나왔습니다.
KBS 사회부의 이문우 기자란 분이 하프연주하시는 것을 찍고 저희가 듣고 있는 것을 열심히 찍고 계셔서 좋은 이야기를 하려나 보다 하고 보고 있었습니다.
아이와 함께 나오는데 저희 아이를 잡고서 너 의사 선생님 보고 싶지 않니? 하고 계속 물으면서 "선생님 보고 싶어요, 빨리 오세요" 하고 말을 하라고 시키더군요.
아이는 왜 그러는지도 모르고 따라 했습니다. 저에게는 내일 교수님도 안나오시면 어떻게 합니까 하고 물어서 그런 일은 없어야지요하는 취지의 말을 했습니다.
병동에서 다른 아이들을 찍고 있어서 우리 아이들은 암치료로 머리도 빠지고 콧줄도 끼도 있는 등 모습이 TV 등에 나오는 것을 매우 싫어해서 찍지 말라고 하였더니 이름도 안나오고 모자이크 처리를 하니 걱정하지 말라고 하면서 가더군요.
하지만 저녁 뉴스를 보고는 의약분업 때문에 의사선생님들이 파업에까지 이르게 된 것이 바로 언론때문이란 것을 느끼게 되었습니다.
저녁 뉴스에 나온 우리 아이와 다른 아이의 모습은 마치 불쌍한 아이의 대표인 것 같이 나쁜 모습만 내어 놓았고 모자이크 처리는 전혀 하지 않았으며 이름도 그대로 니오더군요.
더욱이 한심한 것은 앞뒤의 말을 다 끊어 버리고 기자가 필요한 말만을 따서 짜깁기를 하여 마치 우리가 매우 불만이 많고 의료진에게도 적대감을 가지고 있는 것 같이 나오더군요.
우리는 전혀 그렇지 않은데도 말입니다. 하프 연주도 매우 감동 깊게 들었는데 마치 우울했던 것같이 표현을 하더군요. 우리는 마치 기자의 마음을 대신 이야기해주는 꼭두각시같이 되어버렸습니다.
오늘 아침 교수님들도 매우 서운했다는 말씀을 하시고 다른 보호자들로부터도 많은 안좋은 소리를 들어야 했습니다. 아무리 제가 그런 뜻이 아니었다고 이야기 해도 믿어주질 않습니다.
챙피해서 아이 병실에도 못들아가고 밖에서 빙빙 돌고 있습니다. 지난 달인가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전국의 전공의 5,000여명이 모여서 파업을 한 적이 있었습니다. 가까이에서 본 우리로는 대단한 데모였습니다.
우리 병동의 주치의 들도 모두 나가서 데모를 해서 교수님들이 그 때에도 진료를 대신해 주셨습니다. 하지만 그날 어떤 방송국에서도 그 장면을 볼 수가 없었습니다. 나중에 들어보니 대학로가 막혔다는 것 때문에 교통방송에 한번 나온 것 이외에 아무 방송국에도 보도가 되지 않았다고 하더군요.
언론의 기능은 사회의 구석구석을 그대로 사람들에게 알리는 것이 가장 중요한 기능이라고 생각이 됩니다. 물론 의사들이 환자를 버리고 나가는 것은 매우 나쁜 일이지요.
하지만 더 나쁜 것은 우리같이 제대로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도 마치 치료도 못받고 있는 것 같이 가짜로 꾸며서 기사를 만드는 사기꾼 같은 기자놈들이지요. 더군다나 아무것도 모르는 아이를 꼬셔서 그런 기사를 만들다니요.
공정한 기사만을 쓰는 줄 알았던 KBS마저도 이런 짓을 하고 있다면 기자 중에는 믿을 놈은 한놈도 없다는 말이 정말이군요. KBS 사장님은 이런 기자를 빨리 정리해고 시켜야 국민의 신뢰를 받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