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쏠린 눈... 11일 오후 경기도 한 선거구에서 후보자의 연설을 듣고 있는 시민들. |
|
ⓒ 오마이뉴스 권우성 |
| 하루 앞으로 다가온 17대 총선에서 유권자의 한 표가 한국정치의 흐름을 바꿀 것으로 보인다.
<오마이뉴스>가 14일 각 정당의 전망과 여론조사 전문기관들의 최종판세 전망을 분석한 결과, 한나라당과 열린우리당 중 어느 한 쪽도 과반수 의석을 확보하지 못한 채 전국 60곳이 초경합 상황에 접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수도권 34곳을 비롯해 영남 13곳, 강원 5곳, 호남 4곳, 충청 3곳, 제주 1곳의 순으로, 수도권과 부산·울산·경남(PK) 지역이 80%에 육박했다.
특히 이번 주로 접어들면서 수도권에서 접전 지역이 크게 늘어남에 따라 한나라당, 민주당, 열린우리당 지도부는 이 지역에서 마지막 총력 유세전을 펼치고 있다.
"우리당 과반수 물 건너갔고, 제1당 놓고 치열한 싸움"
여론조사 전문가들은 1, 2당간의 박빙의 승부가 펼쳐질 것이라는 데에는 대체로 동의하고 있다.
조용휴 폴앤폴 대표는 "주말을 기점으로 한나라당 상승세와 열린우리당 하락세가 멈춘 시점에서 터져나온 정동영 사퇴가 판세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다. 재미있는 것은, 정동영이 사퇴하기 전날 노무현 대통령의 산행이 언론에 보도되면서 이 같은 흐름이 벌써 나타났다는 점"이라고 전했다. 조 대표는 1, 2당의 지역구 의석 차이를 5석, 비례대표까지 합칠 경우 10석까지 벌어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김규철 에이엔알 상무는 "열린우리당의 과반수는 물건너갔고, 한나라당과 우리당이 1당을 놓고 치열한 싸움을 벌일 것이다. 1당이 140석, 2당이 120석으로 1, 2당의 차이가 20여석에 불과할 것 같다. 70군데 정도가 여전히 혼전이라 판정하기 힘들다"고 말했다.
또 염동훈 현대리서치 이사도 열린우리당의 과반수 점유에 비관적인 전망을 던지며 양당의 의석 차이를 20석 정도로 꼽았다.
이번 총선에서 승패의 관건이 세대별 투표율이라는 것도 이론의 여지가 없는 대목이다.
한귀영 한국사회여론연구소 연구실장은 "2002년 대선때 나타난 세대별 투표성향이 이번 총선에서는 더욱 분명하게 드러날 것"이라고 말했고, 김규철 에이엔알 상무도 "노풍(老風)이 불면서 이미 20∼30대와 40대 이상의 지지성향이 확 갈리는 모습이 드러났다"고 전했다.
중앙선관위가 조사한 예상투표율(88.7%)이 16대 총선 당시 예상치를 9.8%나 상회하는 등 그 동안 하락세를 보였던 총선 투표율도 반등 기미를 보이고 있다. 이같은 경향은 선거 돌입 이전부터 '탄핵 심판' 대 '정권 심판'의 구도가 뚜렷하게 그려지며 "이번 총선은 제2의 대선"이라는 인식이 유권자들에게 강하게 각인된 결과로 풀이된다.
세대별 투표성향, 대선보다 명확히 드러날 듯
총선 결과, 열린우리당이 원내 과반(150석)을 차지하고 민주노동당이 10석 안팎의 약진을 하게 되면 탄핵철회 여론은 더욱 힘을 받게 될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되면 여권은 지난 1년과는 달리 향후 안정된 정국운영을 추진하게 되고, 원외에 머물렀던 민주노동당의 입지도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반대로 한나라당이 원내 1당을 차지하고 민주당과 자민련도 상당 의석을 획득해 3당 의석수가 과반수를 넘어서면 총선 민의는 대통령에 대한 불신임으로 해석될 수 있다. 노 대통령이 우여곡절 끝에 권한을 회복한다 해도 지난 1년처럼 '여소야대 국회'에 끌려다니는 모습이 재연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지역구도가 미세하게나마 완화될 기미를 보이고, 세대구도가 주요 변수로 떠오른 4.15 총선의 표심이 드러나기까지 남은 시간은 하루에 불과하다. 세대별 투표율에 따라 최소 수십여 표에서 최고 3000∼4000표 차이로 당락이 뒤바뀔 경합지역 60곳은 다음과 같다.
 |
|
▲ 젊은 층의 투표율은 얼마나 될까 11일 오후 경기도 한 지역구에서 한 후보의 선거유세장에서 지지자들이 로고송에 맞춰 선거운동원들과 함께 율동을 하고 있다. |
|
ⓒ 오마이뉴스 권우성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