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대 총선이후 정국 쟁점으로 부상한 노무현 대통령 탄핵 철회 문제에 대해 국민의 과반(52.3%)이 ‘헌재의 탄핵심판을 지켜보고 결과에 승복하자’는 야당 주장에 동의했다.
‘16대 국회가 탄핵을 철회해야 한다’는 여당 주장(42.7%)보다 10%포인트 가량 높았다.
그러나 총선 결과 해석을 놓고 열린우리당의 과반 의석 획득이 노 대통령을 국민이 재신임한 결과라는 데 공감한다는 의견이 64.7%(대체로 39.4%,매우 25.3%)에 이르러 대조적이었다.‘공감하지 않는다’는 의견은 31.3%(대체로 18.9%, 매우 12.4%). 두 가지를 합해 보면 결국 국민은 “이번 총선을 통해 노 대통령을 재신임했지만, 탄핵은 지금 당장 철회하기 보단 헌재의 판단을 지켜보고 승복해야 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법 논리와 정치 논리를 모두수긍하는 절묘한 민의의 접합이 읽혀진다.헌재 심판을 지켜보자는 답은 40대에서 57.4%로 가장 많았고 20대(54.0%)50대(53.0%) 30대(49.6%) 60대이상(46.6%)의 순이었다. 반면 ‘16대 국회가 탄핵을 철회해야 한다’는 응답은 30대(46.8%)에서 가장 높았다. 이어60대이상(42.9%) 20대(42.5%) 50대(41.0%) 30대(39.1%)의 순이었다.
20대에서 ‘헌재 심판을 지켜보자’는 응답자가 상대적으로 많고, 60대이상에서 ‘16대 국회 탄핵 철회’주장에 공감한 응답자가 많다는 점이 이채롭다. “대통령의 권위에 순종적인 노년층의 의식을 반영한 결과”라는 해석이 가능하다.
헌재 심판 승복론은 TK(67.5%)에서 가장 많았고, 그 뒤를 서울(60.8%) 제주(60.0%) PK(54.5%) 등이 이었다. 탄핵철회론은 호남(62.5%) 충청(52.4%) 등 노 대통령의 주요지지기반에서 많이 나왔고, 인천ㆍ경기(46.6%) PK(43.0%)가 그 뒤를 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