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계천은 무늬만 하천길을 만든 인공공원 시설”
조명래 단국대 교수 3일 CBS라디오 출연...
생태계 고려않고 임기내 완공만 신경써
청계천이 1단계 복원공사를 마치고 지난 1일 준공식을 성대하게 마친 가운데, 지금의 청계천 복원은 인공하천을 만든 것일 뿐이라는 주장이 또 제기됐다. 또 복원사업이 생태계와는 무관한 방향으로 흘러갈 수밖에 없었던 이유는 공사가 이명박 서울 시장의 임기 내에 끝나도록 설정됐기 때문이라는 비판도 함께 나왔다.
조명래 단국대 교수는 3일 CBS ‘시사자키 오늘과내일’에 출연, ‘지금의 청계천은 하천이 아니라 인공조경시설’이라는 의견에 동의하면서 현 청계천은 하천을 둘러싼 생태계 등 주변 시스템 복원과는 거리가 멀다고 지적했다. 조 교수는 “지금의 청계천은 무늬로만 하천길이 열려있고 거기에 물을 끌어다 흘려보내는 인공적 하도 설치에 불과하다. 사람들이 이용하는 공원 형식으로만 꾸며져 있기 때문에 '복원'이라고는 보지 않는다”고 밝혔다.
또 “원래 청계천 복원사업은 자연하천 및 생태계 복원도 고려됐었지만 시장 임기 내에 사업을 끝내야 한다는 여러가지 전제 때문에 그런 대안은 적극적으로 검토되지 않았다”며 청계천 복원이 ‘졸속’으로 추진됐다는 비판에 가세했다.
‘지금의 청계천은 물길이 아니라 분수’라는 표현에 동의한다는 조 교수는 “지금의 청계천은 한강에서 하루에 물을 12만 톤 끌어와 흘려보내는, 즉 수도꼭지를 틀어서 물을 흐르게 하는 형태”라며 “따라서 수도꼭지가 잠기면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모든 생태적 시설을 쓸 수 없게 된다”고 지적했다.
그는 “지금은 서울시에서 관리해서 그렇게 되지 않도록 하겠다지만 우리나라는 세계적인 물 부족 국가”라며 “한강의 가수기가 들이닥칠 경우 물을 흘려보내는 데 대한 사회적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고 말했다.
|
|
|
|
|
▲ 청계5가와 6가 사이 평화시장 앞 나래교. ⓒ 2005 데일리서프라이즈 박항구 기자 |
|
|
또 “현재 물값 문제도 해결이 안 돼 있다. 난 물값을 내야 한다고 생각한다. 현재로 보면 17-18억 가량 든다고 하는데, 이 비용은 앞으로 추가될 수도 있다. 또 전기 사고 등이 발생할 수도 있고, 홍수가 났을 때 엄청난 황폐화가 나타날 수 있다. 그래서 지금처럼 물을 끌어 쓰는 방식으로는 지속적인 관리가 안 된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조 교수는 도시하수를 중랑하수장에서 하수 처리해 흘려보낸다는 원래 계획에 대해서는 재활용 측면에서는 괜찮지만 문제점은 여전히 있다고 밝혔다. 고도 처리수를 생산하기가 어렵고, 그 물을 흘려보낸다 하더라도 완벽하게 처리가 안 된다는 설명이다. 또 처리과정에서 오염물질이 생겨나거나 그 오염물질과 대기오염이 만나 또 다른 오염물질을 만들어내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는 것이다.
‘왜 자연하천으로 복원하지 않고 이렇게까지 급하게 했냐’는 질문에는 “서울시에서는 ‘그건 너무 이상적인 계획이고 시간이 많이 걸린다’고 초지일관해 왔으며 서울시가 이런 입장을 가질 수밖에 없었던 가장 중요한 이유는 ‘이명박 시장 임기 기간 내에 복원하도록 설정’됐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앞서 같은 방송에 출연한 노수홍 연세대 교수는 “지금 복원된 모습은 1단계 복원이다. 따라서 현재 복원된 모습은 제대로 된 거라곤 할 수 없다. 하지만 앞으로 본래의 하천 폭과 보행 공간을 되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청계천 복원 아이디어를 낸 노 교수는 “원래 계획은 중랑하수장에서 처리된 도시하수를 재활용해 흘려보내는 것이었지만 공사가 마무리 되지 않아 일단 한강물을 끌어다 쓴다”고 밝히면서“원래 모습대로 하려면 상류천이 복원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나 “상류지천을 복원하려면 ‘주어진 시간’ 가지고는 복원하기가 힘들다”고 설명했다.
‘주어진 시간’이란 ‘1단계 복원 기간’을 의미한다고 밝힌 노 교수는 “주변 상가들이 밀집되어있기 때문에 오랫동안 공사기간을 끌 수 없었다. 주변 상가에 미치는 영향이 커서 상가에 피해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해야 했다”고 말했다.
ⓒ 데일리서프라이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