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왔어요..
글 읽다가... 보너스도 제대로 못 받고.. 최저임금 가까운 월급 받는다는 말에 가슴이 아픕니다.
올바른 여론은 매우 중요합니다.
조중동의 폐해는 이루 말할 수가 없지요.
그나마 할 말 하는 경향신문, 한겨레신문을 지켜 주어야 합니다.
저도 경향신문 신청했어요. 신문을 이미 하나 보고 있어서 좀 걸렸지만... 언론이 바로서야 나라가 이꼴이 나지 않는다는 생각에서 그냥 신청했습니다.
아래 글 읽어보시고.. 꼭 경향신문 신청하세요..
그리고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보시는 분들은 꼭 신문 끊으세요. 선물을 받아서 어쩔 수 없이 보고 계신 분들도... 끊으시면 됩니다. 자전거, 상품 건 같은 선물을 주는 것이 불법일 뿐더러, 무료로 2개월 이상 주면 그것도 불법입니다. 그러니.. 끊으시면 됩니다.
이런 신문들 집에 들이면.. 어른들에게는 물론... 아이들에게 안 좋습니다. 국민학교 시절 아버지가 보시던 신문을 가끔 보곤 했었지요... 조중동 집에 들이시면 애들한테 안 좋아요.
꼭 끊으세요.
아래는 펌글인데.. 자주 가는 사이트에 막 퍼다 나르세요.
---------------
익히 알다시피 신문시장은 몇년째 만성불황 상태다. 발행 부수를 현상유지하는 것만 해도 선방하는 거다. 신문들이 경품들을 돌리는 것도 현상유지가 목적이다. 하지만 요즘 <경향신문> 분위기는 그렇지 않다.
<경향신문> 사람들은 5월초부터 싱글벙글이다. 정확히 청계광장에서 촛불집회가 시작된 5월2일이후 그렇다.
<경향> 판매국 관계자는 4일 "5월초부터, 보다 정확히 말하면 5월6일부터 '자진독자'가 크게 늘기 시작했다"며 "많은 날은 하루에 1천부씩이나 늘고 적어도 하루에 수백부씩은 꾸준히 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6월 들어서도 이런 현상은 꾸준히 계속되고 있다"며 "솔직히 말해 '판촉독자'가 늘어난 적은 있으나, 이처럼 '자진독자'가 매일같이 최소 수백명씩 늘어난 것은 수십년간 처음 있는 일"이라고 말했다.
'자진독자'란 스스로 신문사에 전화를 걸어 구독을 신청하는 독자를 가리킨다. '판촉독자'는 계약 맺은 판촉요원들이 늘리는 독자를 뜻한다. 때문에 신문사 입장에서 보면 '자진독자'는 판촉료 등도 들지 않아 말 그대로 회사 경영에 큰 도움이 되는 '알짜독자'다.
부수뿐 아니다. 요즘 <경향신문> 1,2면에서는 기업광고를 찾아보기 힘들다. '시민광고'가 독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5월 후반부터 인터넷다음카페, 미주한인주부회 등에서 하나둘 보이기 시작한 후원성 시민광고가 5월말부터는 매일같이 1면과 2면을 차지하고 있다.
<경향>은 아예 2면에 '경향독자 게시판'이란 시민광고 전용면을 만들기에 이르렀고, 지난 2일에는 1, 2면도 부족해 시민광고가 11면을 '침범(?)"하는 사태까지 발생했다.
'시민광고'가 이처럼 특정신문 지면을 차지한 것은 지난 1974~1975년 <동아투위> 사태때 박정희 정권의 광고탄압에 맞서 <동아일보>가 백지광고로 맞대응하면서 '시민광고'가 봇물 터진이래 30여년만의 초유의 사태다.
<경향>의 한 기자는 "정부가 정부부처 홍보관계자 대책회의에서 <경향>의 논조를 질타하며 광고탄압적 발언을 한 게 도화선이 된 것 같다"며 "십시일반으로 돈을 모아 신문에 광고를 내주고 구독을 해주는 독자들을 위해서라도 한층 정신 바짝 차리고 일해야 할 것 같다"고 고마움을 표시했다.
지금 정도의 부수 증가나 시민광고 갖고는 만성적 경영난을 겪고 있는 마이너신문 <경향>에 바로 큰 도움이 되지는 못하고 있는 게 객관적 현실이다. <경향> 사람들은 벌써 몇년째 보너스도 받지 못하고, 최저생계비에 가까운 봉급으로 생활을 하고 있다는 사실은 언론계의 공공연한 비밀이다.
참여정부때도 <경향>은 정권에게 미운 오리새끼였다. 청와대 관계자들을 만나면 "<경향>? 민노당 기관지 같은 신문"이라고 독설을 퍼붓곤 했다. 정권 후반부 아파트 폭등 등을 놓고 정부와 대립각을 세웠기 때문이다. 그래서 <경향> 살림살이는 IMF사태후 한화그룹이 손을 뗀 뒤 좋아진 적이 없었다.
하지만 요즘 <경향> 사람들을 만나면 싱글벙글이다. 앞에 빛이 보이기 때문일 것이다. '촛불항쟁'이 만들어낸 언론계의 의미있는 풍광이다.
◀ <경향신문> 2면에는 아예 '경향독자 제기판'이란 전용 시민광고란이 신설됐다. ⓒ뷰스앤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