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 4,492

황반변성 - 황반변성 질환에 대해서 알아보자 황반변성의 치료법 - 루센티스 요법


BY 황반변성 2009-12-23

 

 

황반변성 알아보기

 

황반변성의 치료법 - 루센티스 요법

 

루센티스 요법의 임상연구 결과 등에 대해서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황반변성 - 기존의 치료법과 루센티스 요법과의 비교

 

 

                       <황반변성 레이저 치료법>                       <황반변성 비쥬다인 광역학 요법(PDT)>

 

 

 

황반변성 치료에 있어서 기존의 레이저 요법이나 비쥬다인 광역학(PDT) 요법의 경우

 

시력 손상 속도를 늦추거나 시력이 더 나빠지지 않도록 도울수는 있으나

 

시력을 회복시키기는 어렵다는 한계있었습니다.

 

 

 

하지만 루센티스 요법의 경우 시력 유지 및 보존은 물론 시력회복까지도 가능한 방으로

 

기존의 황반변성 치료법을 개선한 획기적인 치료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황반변성 치료 - 루센티스의 작용

 

<황반변성 안구의 단면도>

 

먼저 루센티스가 어떠한 작용을 통하여 황반변성을 치료하는지 되짚어 보겠습니다.

 

루센티스는 황반변성의 원인이 되는 망막 내 신생혈관이 생성될 때,

 

'일종의 영양분'이 되는 단백질(VEGF-A)에 루센티스의 성분이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신생혈관 생성을 억제하고, 혈관에서 나오는 삼출물과 혈액을 차단하여 황반변성을 치료하는 치료법입니다.

 

 

<황반변성은 위 단면도와 같이 신생혈관이 망막을 침투면서 생기는 질환이다>

 

 

루센티스의 임상연구 결과

 

 

 

미국 마이애미 의대에서는 423명의 황반변성 환자를 대상으로 루센티스의 효능 및 안정성 시험을 위해

 

3상 임상연구 실험을 실시한 바가 있습니다.

 

이 결과에 따르면, 루센티스로 치료한 습성 황반변성 환자의 95%가 시력을 유지하였고

 

이들 중 40% 이상의 환자에게서 시력이 회복되었다는 결과가 나타났다고 합니다.

 

(여기서 시력 회복이란, 흔히 시력 검사 시 사용되는 시력 검사표에서

3줄 이상을 더 볼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안구내 루센티스 약물 투여>

 

 

이는 루센티스 요법으로 치료한 환자군과 광역학 요법(PDT) 요법을 대조군으로 연구한 결과로

 

평균적으로 비쥬다인 광역학 요법으로 치료를 한 대조군은 치료 1년 후에 치료 전 시력과 비교했을 시

 

읽을 수 있는 문자가 9.5문자 감소하여 시력을 잃은 반면

 

루센티스 치료를 실시한 환자군은 8.5문자에서 11.5문자의 시력 개선효를 보였다고 합니다.

 

 


<루센티스 요법 치료 전과 치료 후>

 

 

이러한 루센티스 요법을 통한 황반변성 치료 결과는 외국에서 뿐 아니라 국내에서도 동일하다고 합니다.

 

한 안과에서 환자 244안(眼)을 대상으로 루센티스 요법으로 치료를 실시하여

 

한 달 간격으로 총 3회를 주사한 뒤, 6개월 후에 관찰한 결과 94.3%에서 그 이상의 시력

 

손실이 없이 시술 전 시력을 유지하고 있었고, 그 중 38.5%의 환자들은 시력이 더 나아졌다는

 

결과가 보고된바 있습니다.

 

 

 

美 사이언스誌, 2006년 10대 혁신적 연구성과 선정

 

 

루센티스 요법은 2006년, 미국에서 가장 유명하고 저명한 과학잡지인 사이언스誌에서 선정한

 

10대 혁신적 연구성과로 선정되기도 했습니다.

 

 

루센티스의 제약사 '노바티스'

황반변성 환자들을 위한 환자지원 프로그램 실시

 

 

2007년 9월부터 루센티스는 보험 적용이 시작되기 이전까지 한국희귀의약품센터를 통해서

 

저소득층 환자들을 대상으로 10억원 상당의 루센티스 무상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한 바 있다고 합니다.

 


 

무상지원 수혜자는 600여명으로 이중 30%는 시각장애인이었고, 그 밖에 기초생활 수급자, 의료급여자

 

등이 있었습니다. 앞서 말씀드렸듯이 황반변성으로 인하여 이미 한 쪽 눈을 실명을 한 시각장애인들에게

 

마지막 한 쪽 눈을 치료받은 경우가 많아, 환자들이 완전 실명으로 가는 위험성을 줄이는데 기여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