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비디오를 촬영할 때 이것 만은 알아두세요!
반드시 동영상으로 남겨 둬야 할 순간이 있습니다.
어린 조카가 예쁜 짓을 할 때 라든지…
귀여운 여자친구가 평소 잘 하는 실수를 할 때
신기한 것을 봤을 때 말이죠. -_-;
이런 걸 동영상으로 남겨두지 못하다니! 하고 울부짖어봐야 때는 늦습니다.
물론 요즘은 똑딱이 자동 카메라에 동영상 기능이 있어서 그럭저럭 아쉬움을 달랠 만 하지만...
그래도 전문 캠코더에 비하면 줌도 잘 안되고, 화면은 자글거리고, 해상도도 형편 없고… -_-;;
여러모로 아쉬움이 많습니다.
그런데 전문 캠코더는 많이 비싸죠?
그래서 오늘 저와 함께할 숙련된 조교… 아니 캠코더는 제가 쓰는 산요 작티 듀얼 카메라입니다.
만날 자랑해도 질리지 않는 산요 작티 CA9의 위용 +_+
오늘은 산요 작티와 같은 듀얼 카메라나 캠코더를 이용한 홈 비디오 촬영의 기본을 알아보겠습니다.
아주 아주 기본적인 내용만 알려 드릴 테니 너무 긴장하지 마세요!
저도 이런 튜토리얼을 보면 이마에 핏줄이 솟습니다. ^^;;
1. 동영상 촬영의 기본은 자세!
캠코더를 이용해서 홈 비디오를 만들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촬영이죠.
구도를 잡는 법과 촬영할 때 자세는 사실 카메라 촬영할 때와 비슷합니다.
이렇게 까지 안 해도 됩니다. -_-;;
사진도 마찬가지지만, 동영상을 찍을 때도 흔들림은 멋진 결과물을 훼방 놓는 가장 큰 적입니다.
그렇다면 도대체! 누가 흔드는 걸까요?
남 탓이 아닙니다. 우리 몸과 손이 미세하게 흔들리기 때문이죠.
산요 작티 CA9는 가볍기나 하지, 팔뚝만한 캠코더로 촬영하면 없던 수전증이 절로 생길 겁니다.
때문에 캠코더를 되도록 두 손으로 쥐고, 두 팔을 몸에 바짝 붙이는 게 흔들림을 없애는 첫 번째 조건입니다.
흔들림을 없애는 두 번째 조건은 줌의 이용을 최대한 자제하는 것입니다.
요즘 캠코더들은 60배 줌, 120배 줌처럼 무시무시하게 당겨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데요.
부득이하게 멀리서 찍어야 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과도한 줌의 사용은 정신 없이 흔들리는 동영상을 만드는 지름길입니다.
고배율 줌을 써서 촬영할 때는 손을 1mm만 움직여도 촬영 화면이 수 미터나 움직이기 때문이죠.
물론 손떨림 보정 기능이 있어서 광학 5배 줌 정도까지 흔들림을 커버해주는 제품도 있긴 합니다.
흔들림 보정 기능 여부와 그 기능이 정말로 효과가 있는지는 캠코더를 구입하기 전에 꼭! 체크하세요.
2. 동영상을 편집하자!
흔들림 없이 동영상을 찍었다면 이제 편집할 차례입니다.
동영상 편집!
말만 들어도 심장이 벌렁거리고 속이 답답해지는 느낌이라고요?
저도 동영상을 본격적으로 촬영하기 전까지는 그랬답니다. ㅠㅠ
하지만 윈도 xp와 윈도 비스타 홈 프리미엄 에디션에 들어있는 윈도 무비 메이커를 써보면 동영상 편집에 대한 두려움이 사라질 거예요. ^^;;
윈도 비스타에 들어있는 무비메이커의 모습입니다.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촬영한 동영상 파일을 합치고, 나누고, 순서를 바꾸거나 특수한 전환 효과를 넣는 것도 가능하답니다. 이런 동영상 편집 프로그램을 처음 접하시는 분들은 아래쪽에 보이는 타임 라인이라든지 처음 보는 요소 때문에 두려움을 가질 수 있는데요. 막상 써보면 “동영상 편집 정말 별것 아니네!”라고 생각하실 거예요.
그리고 카메라에서 편집 기능을 제공한다면 굳이 컴퓨터를 이용하지 않아도 간단한 동영상 편집이 가능합니다!
산요 작티의 재생 메뉴에서 동영상 편집도 할 수 있습니다. 멋진 효과를 넣지는 못하지만, 동영상을 잘라내고, 합치고,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웬만큼 좋은 컴퓨터도 HD 화질 고해상도 동영상을 편집하려면 비지땀을 흘리며 버벅거리기 마련인데, 제가 쓰는 작티 CA9은 전혀 그런 모습을 보여주지 않았어요. 정말 똑똑한 듀얼 카메라랍니다. ^^
3. 동영상을 공유하자!
동영상을 찍고, 편집까지 했는데… 혼자 보기 아깝죠?
배꼽 빠지게 웃었던 동영상은 유튜브나 플리커에 올려서 전 세계 사람들과 함께 웃을 수 있고,
정말 멋진 동영상을 찍어서 월드 스타가 되는 일도 꿈은 아닙니다. 물론 친한 친구들에게만 공유할 수도 있답니다.
온 세상 사람들과 동영상을 공유하려면 유튜브나 플리커 계정을 이용하는 게 좋지만, 아무래도 우리가 쓰기에는 메뉴가 약간 불친절합니다.
네이버 비디오를 이용한 동영상 올리기 화면입니다. 일반 게시판에 사진을 올리듯 동영상 파일을 올릴 수 있어서 간편합니다.
파일 크기가 100MB, 최대 10분으로 제한된다는 게 유일한 단점입니다.
그런데 만약, 윈도 무비 메이커가 없는 PC를 쓴다거나, 편집을 미처 못한 상황이라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네이버에서 제공하는 비디오 매니저를 이용하면 됩니다. 윈도 무비 메이커 정도의 간단한 편집 기능과 다양한 전환 효과를 제공하고, 편집한 영상을 다시 PC로 저장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이제 다양한 효과와 자막까지 추가된 멋진 동영상을 친구들과 공유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저도 UCC 사이트에 올라온 멋진 동영상을 보고 전문가들이나 할 수 있는 일이라고 생각했는데 직접 만들어보니 아주 쉽더군요. 여러분도 꼭 도전해보세요! ^^
정리합시다. ^^
1. 흔들림 없는 동영상을 찍기 위해 캠코더나 듀얼 카메라를 몸에 바짝 붙이고, 지형지물을 이용하고, 줌은 과하게 쓰지 않는다.
2. 편집은 간단한 윈도우 무비 메이커를 이용하거나 네이버 비디오 메이커를 이용할 수 있다. 산요 작티 듀얼 카메라처럼 카메라에 편집기능이 내장된 제품도 있다!
3. 친구들과 동영상을 공유하려면 네이버 비디오, 유튜브, 플리커 등을 이용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