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2009년 새해에 열린 CES 2009 한해의 IT 테마는 Green IT 혹은 Eco IT였습니다. 그리고 얼마 전 성황리에 막을 내린 CES 2010 역시 IT 테마는 Green IT 였습니다. 물론 스마트폰, 태블릿, 3D TV등 이외에도 많은 이슈가 있었지만 '작년, 올해는 물론 앞으로 빠지지 않고 등장한 IT의 테마는 무엇일까요?' 란 질문을 받게되면 일초의 고민도 없이 말할 수 있는 것은 바로 환경과 관련한 Green IT라 할수 있습니다.
그린 IT는 IT 부문의 녹색화(Green of IT), IT를 통한 저탄소화 실현(Green by IT), IT를 활용한 기후변화 대응역략 강화(IT for Green) 등 각 분야의 포괄적인 IT 환경 변화를 위한다는 의미의 합성어로 2009년 5월 국가 녹색성장 위원회에서 정의된 단어입니다.
다른 주제들이야 시간이 흐르면서 또 다른 신기술과 새로운 디바이스로 그 테마가 바뀌겠지만 환경과 관련한 그린 IT는 앞으로 꾸준히 아니 집중적으로 키워나갈 주제가 아닐까 합니다.
작년 2009년 하반기 국내 IT 수출 실적은 약 36%정도 상승한 117억 3000만 달러로 이는 그린 IT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이와 관련한 테마 제품의 수출이 증가한 까닭입니다. 특히 DDR2보다 빠른 속도를 보여주면서도 오히려 전력소비가 낮은 DDR3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이에 대한 반도체 수출이 커지면서 이뤄낸 실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우리생활에 밀접하게 다가와 있는 PC 그리고 휴대폰 등 1인 1PC/ 휴대폰이 아닌 1인 多PC/ 휴대폰 시장으로 흘러가는 요즘 새롭게 추가된 그린(Green) 부품이 어떤 것이 있는지 그리고 국내 기업은 어떤 그린 IT를 선보이고 있는지 궁금해졌습니다.
우선 PC를 보면 2010년 인텔에서 출시되는 i3, i5, i7 등 저전력 CPU와 함께 삼성이 2005년 첫 개발을 시작으로 주도적으로 이끌어 가고 있는 40nm 그린 DDR3 메모리를 통해 전세계 PC 시장 지배를 강화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특히 성능적, 전력적 우수성을 지닌 DDR3는 작년까지만 해도 DDR2와 비교해 가격적인 차이와 지원 플랫폼의 부족으로 인해 저조한 판매율을 보여주었지만 그린 IT의 관심 증대와 DDR3 지원 플랫폼과 Window7 출시 등의 소식이 전해지면서 삼성전자는 DDR3 생산량을 늘리고 DDR2 생산량을 줄여 DDR2의 가격이 상승되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이로인해 DDR3는 매달 2배씩 판매량이 증가하는 가파른 상승세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삼성 Green DDR3 관련자료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