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은 재미에 환호한다 |
여자 평영 200미터에서 우승하며 12년 만에 우리나라 여자 수영 종목에 금메달을 안겨준 정다래 선수 그녀의 진면목은 기자회견장에서 드러났는데 회견장을 온통 웃음바다로 만들었다. 그는 기자들의 질문에 '3인칭 애교 화법' 을 선보였다. 즉, "누가 보고 싶냐" 는 질문에 특정인의 이름을 대면서 마치 남의 이야기를 하듯 "다래가 좋아하는 사람" 이라고 대답한 것이다. 또 한 나이에 어울리지 않게 '합시다' 라는 표현을 쓰기도 했는데, 그중에서 압권은 바로 '쉽시다' 발언이었다. 한 기자가 정다래 선수에게 2012 런던 올림픽에 대한 계획을 묻자 "2년 후 올림픽은 아직 아시안게임이 다 끝난 것이 아니라서 잘 모르겠다" 고 하더니 느닷없이 "좀 쉬고..., 이제 쉽시다!" 라고 일격(?)을 가해 회견장을 폭소의 도가니로 만들었다. 그 바람에 "이제 쉽시다" 는 국민적인 유행어가 되었다. - 조관일 (경제학박사) - ![]() 이 시대는 재미있는 사람이 리더가 됩니다. 무미건조한 생활에 재미의 양념을 칩시다. - 재미없는 것은 재미없는 것이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