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 313

폐렴구균 백신 접종 끝나신분, 예정이신분 전부 come on~


BY 루모스 2011-12-06

 

지난달 12일은 '세계 폐렴의 날'이었답니다.
폐렴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은 세균(폐렴구균)인데요.
전문가들은 독감 예방접종 시기인 요즘, 기왕이면 폐렴구균 백신도 함께 맞을 것을 권하고 있습니다.
특히 대한소아과학회 감염위원회는 "지난해 6월 이전에 이미 폐렴구균 백신을 맞은 영유아는
그 이후 새로 출시된 백신을 보충접종 하는 게 좋다"고 권장
하고 있답니다.

 


폐렴구균은 전 세계에 90여 종이 있는데, 그 중 10~15종이 폐렴을 비롯한 
대부분의 폐렴구균성 질환을 일으킨다고 알려졌습니다.
과거 영유아 폐렴구균 백신(프리베나)은 대부분 7종의 폐렴구균을 예방한데 비해
지난해 6월 이후 새로 보급되고 있는 백신(프리베나13)은 13종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이미 과거 프리베나로 4번의 접종을 완료한 영유아는 72개월이 되기 전 아무 때나
한 번만 프리베나13을 추가
로 맞으면 된답니다. 과거 프리베나로 접종을 시작했는데,
아직 4차까지 마치지 못했다면 남은 횟수만 프리베나13으로 접종
하면 됩니다.


폐렴구균은 보통 사람의 30~70%가 코나 목에 갖고 있을 만큼 흔한 균입니다.
건강할 땐 문제되지 않지만 감기나 독감 등으로 면역력이 떨어졌을 때를 틈타
인체 여러 부위를 감염시키지요.
이것이 면역체계가 제대로 발달하지 않은 영유아가 특히 조심해야 하는 이유랍니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매년 160만 명이 폐렴구균성 질환으로 사망하며, 
이 중 5세 미만이 70만~100만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고 합니다.


WHO는 폐렴구균성 질환을 백신으로 예방 가능한 병으로 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미국을 비롯한 50여 나라가 폐렴구균 백신을 국가필수예방접종으로 지정했습니다.
우리나라는 원하는 사람만 맞는 선택접종이지만, 많은 전문가들이 영유아를 비롯해
만성질환자, 고령자는 꼭 접종을 권하고 있습니다.

 

 

폐렴구균성 질환은 초기에 담순 감기와 비슷해 혼동하기 쉽습니다.
폐렴은 코 막힘과 식욕감소, 고열이 주 증상입니다.
패혈증이나 균혈증은 호흡과 맥박이 빨라지면서 체온이 떨어지거나 
피부에 이상증상이 생기기도 합니다. 뇌나 척수를 둘러싼 막에 
폐렴구균이 들어가는 수막염은 가장 위험합니다.
증상으로는 고열과 구토에 시달리며 잘 먹지 못하는 것 등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