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는 알 속에서 빠져나오려고 싸운다.알은 세계이다.태어나기를 원하는 자는 하나의 세계를 파괴하지 않으면 안 된다.
--헤르만 헤세--
헤르만 헤세(1877~1962) 독일.시인.소설가.
그는 주로 인간의 본질적인 정신을 찾기 위해 문명의 기존 양식들을 벗어나 인간성을 다루고 있다.
자기 인식을 호소하고 동양의 신비주의를 찬양했으며,사후,영어권 젊은이들의 우상이 되기도 한 그는 1946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다.
동양에 선교사로 있는 아버지의 간절한 부탁으로 마울브론 신학대학에 입학했지만 적응을 못했고,시계공장 견습생을 거쳐 서점에서 일을 하기도 했다.
갑갑한 전통학교에 대한 그의 혐오는 지나치게 근면한 학생이 자기 파멸에 이르는 내용의 소설,'수레바퀴 밑에서'에 잘 나타나 있다.
서점 점원으로 일하던 1904년 자유기고가가 돼 '페터 카멘친트'라는 첫 소설을 발표한 이후 '로스할데','게르투르트' 등의 작품을 통해
예술가의 내면과 외면의 탐구를 지속했고,그것을 서정소설 '싯다르타' 로 표현했다.
제1차 세계대전 중에는 스위스에 살면서 군국주의와 민족주의를 배격하고,독일의 전쟁 포로들과 수용자들을 위한 잡지를 편집하기도 했다.
1919년 스위스의 영주권을 얻게 되고 몬타뇰라에 정착해서 칼 융과 그의 제자인 J.B.랑과 알게 되고 공동작업도 하게 됐다.
당시 연구한 정신분석의 영향으로 고뇌하는 청년의 자기인식 과정을 고찰한 '데미안'을 내게 된다.
그의 후기 활동은 인간 본성의 이중성에 몰두하게 됐고,'황야의 이리','지와 사랑','유리알 유희'를 발표했다.(브리태니커)
개인적으로 아주 좋아하고 존경하는 작가인 헤르만 헤세,그가 죽은 해에 내가 태어났다는 인연도 참으로 소중하기만 하다!
그리고 우연히 집어든 유리알 유희의 다소 신비롭고 몽롱한 분위기는 내용을 다 잊어버린 지금에도 나를 행복하게 만들어준다.제목을 듣는 것만으로도...
이상주의자이자 동양적 신비주의 사상에도 심취했던 그의 존재 역시 나를 행복하게 만들어주기도 하는데...
내 평생 그의 기념관을 한 번 가 보는 게 버킷 리스트에 들어있다!꼭!
새는 알로 태어나 일정 기간 어미의 체온으로 그 안에서 생명체로 거듭 태어나게 되고,일정기간이 지나면 스스로 알을 깨고 나와야 비로소 생명체로서 태어나게 된다.
마찬가지로 식물의 씨앗도 단단한 벽을 뚫고 나오는 싹만이 식물로서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거나 씨앗을 맺어 자신들을 널리 퍼뜨릴 수 있게 된다.
자신의 생명을 보호해주던 껍질을 깨트리고 파괴하는 뼈아픈 자기파괴의 과업을 완수해야 한다.
마찬가지로 곤충들도 애벌레로 태어나 치열한 생존경쟁을 거쳐 변태를 해서 자신의 껍질을 뚫고 나왔을 때 비로소 생명체로서 태어나게 되는데...
하물며 만물의 영장을 자처하는 인간들임에랴~
그러나 요즘들어 인간들 중 상당수는 껍질을 깨고 나오거나 변태하기를 거부하며 인간이길 포기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그런 애어른들 당사자를 비난만 할 수 없는 것이 내막을 살펴 보면 하나같이 그 부모들의 탓이란 것이 정설이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성인이 돼서도 우린 끝없이 자신의 틀을 깨부수고 새로이 태어날 때라야 생존할 수 있는데,
그렇게 거듭나는 사람들을 찾아보기가 쉽지 않음에 ...이런 현상의 책임은 기성세대들에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보통 자식들은 부모가 하는 걸 보고 따라하게 돼 있기 때문이다.
부모의 흉을 보면서도 똑같이 따라하게 되는 현상이 그 증거라 할 수 있는 것처럼...
해방 이후 전쟁을 거치면서 극빈경험을 해 본 부모들은 자식들에게만은 고생을 시키고 싶지 않다며 하나서부터 열까지 모두 알아서 챙겨주는 걸 자랑으로 여겨왔다.
그러나 그 대접을 받으며 자라온 것들이 사회의 중추로 등장한 현실을 보면 그 부작용이 얼마나 큰지를 실감할 것이다.
특히 공주로 자라왔던 박근헤나 귀공자로 자라온 김무성 등의 친일 매국노이면서 최상위 1퍼센트의 것들이 하는 짓을 보면 여실히 증명되고 있잖은가?
식언을 일삼고,제멋대로 떼를 쓰듯 죽끓는 듯한 변덕을 부려대도 간신배 졸개들이 알아서 해결을 해주고,
그런 뒤처리가 마음에 들지 않으면 찌릿~하고 째려보면 또 다시 오줌을 질금거리며 박박 기어서 무마를 해주고 있다.
그런 폐해를 직접 목도하고,있고,그 피해를 입고 있으면서도 ,더욱 기승을 부리며 헬리콥터 이상의 행태를 보이고 있는 것을 보면 절망적이다.
스스로 껍질을 벗는 고통을 경험할 수 있도록 기회를 부여해가야 할 것이다.진정 사랑한다면...
아이들이 아주 어렸을 때 화초닭을 키웠었다.
메추리 알만한 알을 낳았고,다른 토종닭의 알들까지 ,자신들의 몸을 최대한 부풀려가며 품고 있던 중 ,
작은 알 하나가 깨진 걸 보곤 다른 닭이 해코지를 한 줄 알고 버리려고 든 순간,
그 알에서 삐약삐약 소리가 나는 걸 듣곤 흥분을 해서 들고 들어가 잠자던 아이들을 깨웠다.
그리고 알을 사이에 두고 비응 둘러 엎드려 알을 깨고 나오는 자그마한 병아리를 지켜 봤었다.
당시로선 신기하기만 해서 그랬었던 것이지만 이제와서 결과론적으로 좋은 교육을 했다고 자부하게 되는데...
그 작은 병아리가 스스로 껍질을 깨고 나와서 젖은 털을 스스로 말리고 아장아장 걷는 걸 보여준 것이 ,헤세의 저 말을 직접 체험시켜준 꼴이 됐으니...
그래서라고 장담할 순 없지만 ,여튼 녀석들은 스스로 자기주도적 삶의 주인공이 되려,스스로 선택한 길을 멋지게 걸어주고 있다.
나 역시도 험난한 역경에 처해있을 때도 손길을 뻗어주시지 않고 스스로 극복하라고 하시는 부모님을 보며 치를 떨었었지만,
그 덕분에 지금 이처럼 살게 된 것이라고 생각하며 감사하게 됐으니 ...
격세지감이나마 참으로 다행스럽다고 생각하고 ,나 역시도 불편한 가정을 안겨준 것에의 미안한 마음도 조금은 줄일 수 있게 된다.
어차피 어른들 사이의 문제였을 뿐,녀석들을 사랑하는 마음만은 누구 못지 않았으니...
아직도 많은 부모들이 자식들을 온실 속의 화사한 꽃으로만 키우고 싶어하는 줄 안다.
하지만 그것은 자식들의 자립을,독립정신을 해치는 것임을 깨달아주길 바라는 마음 간절한데...
가능한 한 자기주도적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판단도 맡기고,결정권도 얼마간 부여해가는 멋진 부모가 되길 바라는 마음 간절하다.
그러면 비뚤어진 사랑의 부작용이 극에 달한 현 베이비부머 세대들의 잘못을 극복하고 개선해갈 수 있을 것이며,
머잖아 녀석들의 세상이 됐을 때 지금처럼 불행한 삶을 살지 않을 수 있게 될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
제발...헬리콥터 부모라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