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란이 컸던 ‘릴리안 생리대’ 사태가 다국적 기업이 점유하고 있는 생리대 업체를 보호하기 위한 마케팅 전략으로 쓰이고 있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최근 업계에 따르면 2017년 상반기 깨끗한나라의 ‘릴리안 생리대’ 사태로 빚어진 유해성 논란이 특정 집단 혹은 세력이 어떠한 목적을 가지고 진행된 대국민 사기극이였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생리대 피해자들의 댓글이 확대 해석되고 검증되지 않은 조직적인 여론이 확산돼 소비자의 알권리와 소비자 후생이 피해를 보고 있다는 것.
다국적기업이 점유한 생리대시장에서 국내 업체 깨끗한 나라 ‘릴리안’은 2016년 상반기 10.2%의 시장점유율에서 0.9%로 하락하는 피해를 입었다.
이런 가운데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과 한국소비자원에 생리대 5개 업체별 피해자수에 대한 행정정보공개청구가 있었으나 내부 사유에 의해 공개되지 않아 특정기업의 비호와 사실에 대한 은폐일 수 있다는 의혹을 사고 있다.
먼저,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은 왜 실제 피해자수와 다르게 신고자수를 늘렸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신고자는 248명이었지만 환경부의 '건강영향조사'에는 신고사례를 410건 접수했다.
또한 한국소비자원은 다른 사례에서는 업체명을 공개했던 바가 있어 더욱 의혹이 커지고 있다. 2008년 3월에는 생리대 실태 안전조사를 통한 자료에서도 업체명을 공개했고, 2017년 프랜차이즈 헤어샵 보도자료에서도 업체명을 공개했다. 하지만 이번 생리대 유해 사태에 대해서는 공개하지 않았다.
한편, 여성환경연대는 다른 소비자 단체와 달리 피해사례가 수천건 접수돼 의혹을 사고 있다. 여성환경연대에는 단 2일 사이에 2944명의 피해자 접수가 됐다. 한국소비자원에서 여성용품 관련 상담 건수가 올해 1∼6월 27건에서 9월에는 685건으로, 9개월간 874건만 접수된 것과 비교되는 수치다.
한 업계 관계자는 “상식적으로 이해가 되지 않는 통계 수치에 막대한 예산이 투입되고 대한민국 여성을 캐미포비아의 공포속으로 넣은 그 진실을 은폐하는 것이 아닌가”라며 “생리대 피해 신고 인원은 소비자로부터 신뢰를 잃은 소비자단체의 단면을 보여주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실제로 제품에 유해성 문제로 피해자가 생겼다면 피해자수는 꾸준히 늘어나야 하는데 ‘릴리안 생리대’ 사태와 ‘가습기 살균제’ 사태는 사뭇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며 “특정시기에 특정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만 ‘릴리안 생리대’ 관련 글이 늘어났다는 점도 다소 의아한 부분이다”라고 언급했다.
메디컬투데이 남재륜 기자(newroon@md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