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20일-성숙을 위한 독한 가을.
 
 
 
  
구름 걷히는 초겨울. 
  
찬바람에 떠는 가로수들이 떨어뜨리는 
마지막 잎새. 
  
이제 떨어질 나뭇잎도 몇 개 남지 않았다. 
  
앙상한 나뭇가지 사이를 
찬바람이 거침없이 드나든다. 
 화려했던 풍경이 사라지니 
겨울에도 지지 않는 푸른 잎들이 비로소 눈에 잡힌다. 
 돌보는 사람 없어도 
늘 같은 모습으로 꿋꿋하게 서 있는, 
상록수의 계절. 
 바람 불어 더 추운 날. 
 
오 헨리 단편소설의 제목. 
 소설처럼 11월 집 앞의 담쟁이덩굴 잎을 
쳐다볼 일은 드물겠지만 
 이야기의 각인 효과는 아직도 여운을 남긴다. 
 마지막 작품으로 
세찬 비바람에도 떨어지지 않을 잎을 
담에다 그려놓고 세상을 떠난 무명 화가. 
 그 그림을 보고 병세가 호전된 환자…. 
 이런 상념 속에 따뜻한 겨울을 맞는다.
 
 
 
 
 
세월은 각자 ‘나이만큼의 빠르기’로 흘러간다. 
 16세 청소년에겐 시속 16km,
 환갑노인에겐 시속 60km,
  ‘검버섯’ 고희는 시속 70km. 
눈 깜빡할 새. 
 ‘20∼24세는 2학년 1학기, 
25∼29세는 2학년 2학기’식의
 
 ‘나이 셈법’도 있다.
  6학년을 마친 70세부터는 덤 인생.
 ‘1학년은 철학자, 2학년은 교수, 3학년은 학생이다.’
 
독한 가을의 끝, 
  
하지만 성숙을 위해 
또 겨울이 버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