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는 우리 자녀들이 살아가고 있는 사회 안에서 생존하고 번영하도록 보호하고 준비시켜 주는것이 목적이다.
부모코칭 프로그램 적극적인 부모역할 중
부모의 역할
-가정 안에서의 지도자 역할을 할 사람은 자녀가 아니라 부모이다.
-부모는 우리의 자녀들이 살아가고 있는 사회 안에서 생존하고 번영하도록 보호하고 준비시켜 주는 것이 목적이다.
-자녀에게 필요한 능력을 키워주는 것이다.
(품성 키워주기, 의사소통, 타협하기-거절하기, 문제해결의 기술, 학습의 욕구)
-자녀들이 어떤 위험에서도 현명하게 헤치고 나갈 수 있도록 힘을 키워주는 예방주사 같은 것이다.
부모의 역할의 유형
-나는 어떤 부모인가?
1. 독재자형
자유는 주지 않고 제약과 한계만을 주는 지도법. 자녀에게 선택의 자유를 주지 않는다.
“내가 부모니까 너는 내가 말한 대로 하면 돼!”
“네가 나와 같이 사는 한, 너는 내가 정한 규칙에 따라야 돼.”
“네가 나중에 크면 그때 가서는 네 맘대로 결정해.”
“네가 뭘 안다고 그래. 내가 하라는 대로 해.”
2. 심부름꾼 형
한계는 주지 않고 자유만 주는 지도법. 자녀에게 규칙이나 한계를 가르치지 못한다.
"엄마는 그것이 좋은 생각이라고는 여기지는 않지만, 음...네 맘대로 해.”
“돈이 필요해? 그게 갖고 싶어? 그래 그럼 사 !”
“나는 네가 그런 곳에 가지 않았으면 좋겠는데... .”
-자녀의 말에 무조건 적이 허용. 방목형이 이에 해당
3. 적극적인 부모
일정한 한계 안에서의 자유를 주는 지도법.
자녀의 발달 단계에 맞추어 선택권을 주고 인정하고 지지해 주는 지도법.
“네가 실망하겠지만, 너는 지금 외출할 수 없다. 왜냐 하면...”
“그래, 우리 함께 그것에 대해서 이야기해 보자. 너의 생각은 무엇인지 말해 보렴.”
“네가 그 문제를 처리할 수 있다는 것을 난 알고 있단다. 그러나 혹시 도움이 필요하면
곧바로 나에게 알려 주려무나.”
이런 상황일 때 유형별 엄마의 반응
독재자형
심부름꾼 형
적극적인 부모
이럴때 가장 힘이드는 부분이지요.
무조건 안돼!만 고집 할 수도 없고,
그렇다고 무조건 허용 할 수도 없고,
이런 경우 아이가 엄마에게 솔직하게 자신의 마음을 알려준 것
만으로도 감사하다 생각하고 아이의 마음공감해 주는것이
좋겠지요.
옳은말 보다 아이를 공감해 주는 말이 훈육에
도움이 될 때가 많지요.
저는 오늘도 일상에서 아이와 상황의 한계에 부딪히면서 현명하지 못했던 엄마로서의 행동에 후회를 하지만
반성도 하면서 늘 깨우쳐 나가는 하루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