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 99

다 지원사격하세요,,,우리 딸기맘을 위해


BY 펌 글 2004-04-10

열린우리당 고위 당직자들은 최근 "지역구 120석달성도 힘든 상황", "`거야 부활론'은 공연한 말이 아니다"며 위기론을 부쩍 강조하고 있다.

심지어 `과반수는 커녕 1당 달성도 힘든 것 아니냐'는 얘기까지 심심찮게 들린다.

당 안팎에서는 이를 `엄살'로 받아들이는 분위기가 많은게 사실이다. 여론조사공표가 가능했던 지난 4월1일 조사까지만 해도 열린우리당의 지지율 고공행진은 계속되고 있었고, 당시 분위기로는 175석까지도 무난한 것 아니냐는 전망이 나왔었기때문이다.

따라서 한나라당이 `거여 견제론'을 들고 나오는데 대한 대응카드로 `거야 부활론'을 주장하고 있는 것일 뿐 `위기론'은 그다지 심각한 상황이 아니라는게 야권의주장이다.

특히 정동영(鄭東泳) 의장의 `노인폄하' 발언 이후에도 각종 여론조사 결과 열린우리당의 지지율은 `박근혜 효과'와 `탄핵풍 거품 제거'의 추이와 겹쳐 5% 안팎의조정만 있었던 것이 위기론에 대한 반박 논거로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열린우리당의 분위기는 심상치 않다.

탄핵안 가결 직후 거세게 몰아친 `역풍'으로 부산.경남은 물론 `대구.경북'에서도 의석 확보가 가능할 것이라던 기대감은 탄핵풍이 점차 수그러들고, 노풍(老風)과함께 `박근혜 효과'가 확산되면서 `없던 일'로 되가고 있다고 당직자들은 말하고 있다.

한 당직자는 "부산.경남에서만 하루에 서너개씩 날아가고 있다"고 말했다. P.K지역의 41개 선거구 가운데 공식선거전 개막(2일) 이전에는 20여곳에서 우위를 보였지만, 선거전이 중반으로 접어들면서 우세 지역은 접전지역으로, 접전지는 열세지역으로 바뀌어 우세지역은 10개 미만으로 대폭 줄었다는 것이다.

당내 상황판도 부산.경남 지역의 판세 보드가 연일 `파란색'(한나라당 상징색)으로 바뀌고 있다고 한다.

현지에서 뛰고 있는 출마후보들의 체감도는 더 높다. 부산에서 출마한 한 후보는 "이런 추세로 간다면 대구.경북은 물론, 부산.경남에서조차 한석도 건지지 못하고 전멸하는 2000년 선거의 악몽이 떠오른다"고 말했다.

이같은 위기상황을 초래한 원인으로 당내에서는 정 의장 발언과 함께, 탄핵풍의반사적 지지에 들뜬 교만감과 도덕적 해이, `박근혜 효과'의 확산이 불보듯 뻔 한데도 적절한 대처를 하지 못하고 이슈선점에서 실패한 어설픈 총선기획 전략 등을 꼽고 있다.

한치 앞도 분간하기 어려운 안갯속 판세로 인해 증폭되고 있는 `열린우리당 위기론'은 선거때까지 지속되면서 선거 결과에 따라 총선후 당 내홍의 단초가 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관측마저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