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 397

<아줌마의 말말말>[정치] 권력에 대한 비상과 승천을 향한 용틀임의 시작!


BY 발뒤꿈치 2012-01-24

아줌마닷컴 회원여러분 안녕하세요^^ 

제가 여기 아줌마닷컴에 회원가입을 하고 방문하지 엊그제 같은데

벌써 2012년 임진년 새해가 밝았습니다.

 

정월 초하루부터 명실공히 용의 해가 시작되는 날이네요.

용은 '보다 나은 존재'가 되고 싶다는 인간의 열망에서 비롯된 상상의 동물입니다.

용은 힘차게 승천하는 비상과 상승의 기운으로 사람들에게 용기와 희망을 주는 것 같아요.

그래서 태몽 용꿈을 최고의 길몽으로 여기고, 개천에서 용이 나길 바라며, 용이 될 것 이란 기대를 한다  이외에도 용과 관련된 말은 많습니다.

 금님의 얼굴은 용안, 옷은 용포, 임금님이 정무를 볼 때 앉던 평상은 용상이라고 하고

임금이 즉위를 하면 용비라고 했죠. 조선 세종 때 건국의 시조들을 찬양하고 왕조의 창건을 합리화로 노래한 '용비어천가'는 대표적입니다.
 
  용은 여러 종류의 동물 모습으로 표현됐다고 합니다.

머리는 낙타, 뿔은 사슴, 눈은 토끼, 귀는 소, 목덜미는 뱀, 배는 조개, 비늘은 잉어, 발톱은 매 그리고 주먹은 호랑이와 비슷하거나 닮은 모습으로 나타나죠.

이와 같이 여러 동물들이 지니고 있는 최고의 무기를 겸비한 용은 하늘과 땅, 그리고 물속 어디서나  세상을 지배하는 신으로 자리 잡으며, 사람들에게 위엄과 권위를 상징하게 됩니다.

용은 가장 강력한 존재로 표현되는 최고 최상의 아이콘이라는 말씀~!ㅎㅎ

 

그러나 완전무결한 용에게도 약점이 있어요.

그것이 역린입니다.

'한비자'의 '세난편'에 나오는 말로서 용은 두껍고 단단한 비늘로 되어 있어서

어떤 무기로도 용의 비늘을 뚫을 수는 없을 만큼 완전무결하나 단 하나 거꾸로 붙어 있는 비늘 즉 용의 목 밑 부분 심장위에 있는 비늘 하나만은 매우 약합니다. 이 비늘을 역린이라고 하죠.

용의 가장 약한 급소인 셈이랍니다.

용을 죽이는 방법은 오직 여기를 공격하는 것 하나 밖에 없겠죠?

 

 용은 그러나 자기의 약점이 역린에 있는 것을 잘 알기에 역린을 건드리려고 하면 화를 내며 폭발하게 됩니다. 만일 이 비늘을 건드리는 자가 있다면, 용은 그 사람이 누구든 죽여 버린다고해요.

군주 역시 용과 같습니다.

군주에게도 역린이 있는 것이니, 이것을 건드리는 것은 무모한 짓입니다.

이후로, 임금의 심기를 건드리는 것을 역린지화<逆鱗之禍>라 말하게 되었으나

왕조시대가 아닌 현대사회에서는 큰 화를 일으킬 수 있는 원인이 되는 것을 총칭하여 

<역린>이라고 부른답니다^^

즉 상대방의 약점을 이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상대방을 비방하는 일 모두를 포함하죠,
 

 

 


  2012년 임진년(壬辰年), 새해는 총선과 대선이 있습니다.

권력에 대한 비상과 승천을 향한 용틀임이 시작되었다고 표현하겠습니다^^;

여의주를 물면 승천하여 온갖 조화를 자유자재로 부릴 수 있지만

그렇지 못하면 이무기가 되기 때문에 사람들은 여의주 즉 권력을 얻기 위하여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습니다. 특히나 총선이나 대선처럼 사생결단하는 선거철이 되면 선거전략으로 상대방을 무차별 비방하고 그 역린을 공격하기도 하죠.

 

  권력을 얻는 것은 좋으나 역린지화를 후보자들이 명심하였으면 합니다.

완전무결한 龍도 역린을 가지고 있듯이 모든 사람은 용의 역린에 해당하는 마음의 역린이 있습니다. 사람마다 마음의 역린은 다릅니다. 노출된 역린이 있는가 하면 숨겨져 있는 역린이 있있죠. 자기의 역린은 로맨스고 상대방의 역린은 스캔들이라는 식으로 역린을 건드리고 마는 일들이 일상에서 종종 발생하기도 합니다.

 

 

 

 

 

마음의 역린이 다치면 목숨과 바꾸는 사람도 있습니다.

다른 사람 마음의 역린이 무엇인지를 알고 헤아려주는 것이 배려의 시작입니다.

지렁이도 밟으면 꿈틀합니다. 

상대방 마음역린을 몰아세우거나 상처를 주어서는 깊고 오랜 만남을 유지할 수 없거든요.

너와 나의 역린이 공존할 때 세상은 인격과 품격으로 채워지는 것 아니겠어요?^^

 

이번 선거에는 역린을 이용하지 말고 정책대결이었으면 합니다.

히나 총선이나 대선에서 후보자들은 말을 조심했으면 좋겠어요.

 

불가에 '들은 귀는 천년, 말한 입은 사흘'이란 말이 있습니다.

행여나 실수로 상대방의 역린을 건드렸다면 즉시 사과하여 상대방의 상처를 어루만져 주세요! 그리고 자신의 역린에 상처를 입었다면 가능한 한 빨리 그 아픈 기억을 내려놓아주세요!

 

임진년 화두는 역린지화(逆鱗之禍)였으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