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 361

지혜를 얻으려면...


BY 미개인 2014-01-06

지식을 얻으려면 공부를 해야 하지만,지혜를 얻으려면 관찰을 해야 한다. 

              --마릴린 사반트--

 

누구나 지식은 공부를 통해서 얻을 수 있다.

하지만 그것이 제아무리 좋은 지혜의 가르침이라고 하더라도 스스로 관찰하고 경험하지 않는 한 그것은 지식일 뿐이다.

지식이 제아무리 머리와 가슴에 꽉 찼더라도 살아가는 데 있어선 별 도움이 되지 않으니...

정말 훌륭한 스펙을 지니고도 이용만 당하며 어리석게만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을 보게 되는 것이 증명해준다..

참 이상하다,그치?

 

진정 우리의 삶에 도움이 되는 지혜는 스스로 얻어야만 하는 것인지도 모른다.

직접 나아가 맞부딪히며 시행착오를 겪고 아픔과 슬픔을 겪으며 몸으로 체득하는 것인 것이다.

공부를 통한 지식만으론 살 수 없으니 ,직접 관찰하며 지혜를 얻으라고 가르치고 싶은 것일 게다.

아직 무슨 말인지 감이 안 잡힌다면 아직은 어른이 덜 됐다고도 할 수 있으니 좀 더 고생을 해봐야겠구나 생각하며 박차고 일어서길...

 

책을 읽고 선배들의 이야길 듣고 강연 등을 들으며 참 좋은 삶의 지식들을 많이 접해왔다고 자부했다.

잘 살 수 있다고 자신하기까지 했었다.

하지만 그것은 그저 지식이었을 뿐 ,지혜가 아니었기에,다 안다고 생각하며 관찰을 하지 않은 탓에 

지금은 실패를 했고, 상처를 붙안고 오랜 시간 아파하며 치유되기를 기다려야 했고,그것이 아물고 나서야 비로소 지혜의 눈을 뜨게 된다.

훈련까지도 충분히 쌓았다고 생각했었건만...

하지만 인생에 있어선 돌이킬 수 있는 것보단 돌이킬 수 없는 것이 훨씬 많다.

다시 돌이킬 수 있다 하더라도 거기서 살아남는 것은 처음부터 지속적으로 추구해가는 것보다 두세 배는 힘들다.

공부,사랑,결혼,사업,인생...

 

그렇다고 지식을 무시해도 될까?

지식이 없으면 지혜를 얻지 못할 수도 있다.자칫 독선이 될 수도 있으니...

지식을 바탕으로 하여 지혜를 누릴 수 있게 된다는 말이다.

작은 지혜를 얻으려면 작은 지식만으로도 충분할 수 있다,그러나 큰 지혜를 얻고 싶다면 많이 공부를 하여 큰 지식을 얻어야 한다.

지식1-지혜1-지식2-지혜2...

계속 업그레이들 시켜가야 하는 지식과 지혜의 사이클이기에,평생공부를 강조하는 것이다.

죽는 그 순간까지 배우고 익히고 관찰하며 살아갈 때 우린 비로소 인간적인 삶의 주인공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아이들더러 공부를 하라고 하면 다 했다고 한다.과연?

어른들더러 공부를 하라고 하면 다 늙어서 공부는 무슨,,,하며 어이없어 하지만 공부엔 끝이 없다.

죽을 때까지 하고 또 해도 마칠 수 없는 것이 공부인 것이다.

그리고 그 공부를 통해 얻은 지식엔 반드시 관찰이 따라야 한다.

직접 체험의 과정이 따라야 비로소 지혜로서 빛을 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지혜라야 비로소 살아가는 데 적용할 수 있는 것이 된다.

공부하고 관찰해 가면서 현명하게 후회없이 살다 가면 좋지 않을까?

내가 지금 처한 상황에서 필요한 지혜를 깨달았다면 치열하게 공부를 해서 지식을 습득하고,

그것을 실제 생활에 적용해가며 지혜로 승화를 시켜가얄 것이다.

그리고 저마다 처한 환경이 다르고 개성이 다른만치 저마다 공부법이 다를 수 밖에 없을 것이다.

남들이 하니 나도 한다거나 ,남들이 하지 않는 걸 내가 굳이 할 필요가 있겠느냐며 부화뇌동을 해선 안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