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 131

치료부위가 깊지 않았다면 시린것은 며칠지나면 괜찮아집니다.


BY 치위생사 2003-10-08

앞니 안쪽을 아말감으로 떼울경우

햇볕이나 밝은 조명이 있을때 앞니가 검게 비쳐보일수 있읍니다.

또 아말감은 치료비가 저렴한 대신 재료가 시간이 지나면서 수축하는

성질이 있어서 눈에 보이지 않는 미세한 틈을 만들어 침이 들어가는 등

2차로 충치를 만들게 됩니다.

아말감은 충치부위보다 더 많이 (충치가 생긴부위보다 깊고 넓게)

갈아내어서 홈을 만들어야지만 떼울수 있읍니다.

(약재를 꼭꼭 누르면서 만들어진 홈에  채워넣는방식)

때문에 치아의 삭제량이 많아야하므로 앞니의 치료에는 부적합하죠.

이번에 아말감으로 치료받으셨다면 다음번에는 그 아말감이 떨어져 나간부위를

더 깊고 더 넓게 파내야 치료가 가능해지므로 단순히 떼우는 치료로는

치료가 불가능해집니다. 그럼 신경치료를 받으셔야하고 씌워주게 되는데

그럼 경제적으로 몇십배로 부담이 생기겠죠.

레진은 재료의 값이 비싼 단점이 있으나

치아의 손상된 부분만 제거하고 연고(?)를 바르듯이 레진을 붙여가며

모양을 만든후 레이져로 단단하게 재료를 굳게하는 방식입니다.

재료의 수축등으로 2차 충치를 만드는 경우는 없고, 본인의 치아색과

비슷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유치의 경우 곧 갈아야할 치아이므로 좀 싼 레진으로 치료합니다.

작업이 섬세하지 못하고 , 색깔도 자연스럽지 못해서 영구치에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아말감, 레진의 가격차이는 치과에서 정하는것이 아니라 재료자체의 가격차이가

많이 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