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 102

재활용이 가능한 것들


BY 진돌이 2025-08-30

재활용이 가능한 우산 제안서

1. 제안 개요


현재 시중에 유통되는 대부분의 우산은 금속, 플라스틱, 나일론(비닐) 등의 이기종 소재로 구성되어 있어 재활용이 극히 어렵고, 분리배출에도 높은 인력과 비용이 소요됩니다. 이에 본 제안서는 우산의 전면 플라스틱 일체화 설계를 통해 재활용성을 높이고 생산 단가를 절감하며, 환경오염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제시합니다.



---


2. 문제점 분석


항목    현행 우산 구조    문제점


살대    금속/플라스틱 혼합    재질 혼합으로 자동분리 불가

천    폴리에스터, 나일론    소각 시 유해가스 발생

연결부    리벳, 나사, 본드    해체 어려움

폐기    일반쓰레기 처리    재활용률 극히 낮음




---


3. 개선 방안


A. 전면 플라스틱 구조 적용


우산 살대, 중심대, 손잡이, 연결 부품 모두 **단일 플라스틱 소재(PP 혹은 HDPE)**로 구성


천(비닐) 대신 얇은 반투명 플라스틱 시트를 사용하여 접이성 및 방수력 유지



B. 초음파 융착 방식 적용


우산살과 비닐(플라스틱 시트)을 초음파 융착(Ultrasonic Welding) 방식으로 결합


접착제 및 금속 리벳 불필요 → 분해/재활용 용이



C. 재활용 프로세스 단순화


동일 소재로 구성된 일체형 구조는 기계 자동 파쇄 → 세척 → 재펠렛화 가능


폐기 비용 절감 및 재생원료로 재투입 가능




---


4. 기대 효과


항목    기대 효과


환경적 측면    이종소재 제거 → 재활용률 향상, 소각량 감소

경제적 측면    분해/재활용 비용 절감, 폐기물 처리비용 감소

산업적 측면    친환경 브랜드 이미지 확보, 정부 환경정책 부합

소비자 측면    가격 인하 가능성, 재사용 우산시장 진출 가능




---


5. 실현 가능성 및 기술 요소


플라스틱 시트는 방수성/내구성/유연성 확보된 원단(PP 필름, PETG 등) 활용


초음파 융착 장비는 이미 자동차, 가전 산업에 널리 사용됨


단일 소재 제품에 대한 재활용 인프라 이미 구축됨




---


6. 향후 제안 발전 방향


공공기관/지자체와 협업하여 일회용 우산 회수–재생 프로그램 구축


우산에 재활용 마크 부착 및 QR코드 등록으로 분리배출 가이드 제공


재생 플라스틱으로 새로운 우산/생활용품 제작하여 순환 구조 완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