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 82

[오늘의미션] 아동학대가 없는 세상


BY 사교계여우 2021-07-19

저 불쌍한 아기의 학대 내용을 알고 싶지 않지만 본의아니게 알게되고 그럴때마다 너무 슬퍼진다. 세상은 더럽고 폭력적이고 잔혹해서 이미 충분히 끔찍한 사건들은 매일같이 일어나고 있지만 유독 이 사건이 내가 더 슬픈 이유는 내가 비슷한 연령의 아기를 키우고 있기 때문인 것 같다. 또한 세상에서 가장 약자, 누군가가 보호해주지 않으면 생존 자체가 어려운 가장 약한 존재가 자신이 기댈 수 밖에 없던 그 유일한 절대자에게 아주 지독할 정도로 학대받았다는 사실이 나를 더욱 슬프게 만든다. 너무나도 슬퍼서 sns상의 개뼉다구같은 첼린지도 넘 혐오스럽지만 ... 그래도 여론의 부글거림으로 인해 그 양부모가 살인죄로 정당한 죄과를 치르게 되고 또한 보다 근원적인 해결책에 한발자국이라도 가까워진다고 생각하려고 한다.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계속 관심을 가지고 근원적인 해결책이 만들어지도록 지켜보는 것이겠지.


내가 느끼는 피상적인 슬픔보다 훨씬 더 깊은 부분을 지적하고 또한 많은 고뇌와 좌절을 겪은 사람이 쓴 글을 공유함.


소아응급센터에서 진료를 한지 6년.
학대로 숨진 16개월 아이의 일로 세상이 떠들썩하지만 
사실 이 곳에서 근무하는 우리들에겐 일상에 가깝다.
다만 아무리 겪어도 
익숙해지지 않고, 담담해지지 않는 아주 특이한 일상.
응급실에 딱 일주일만 있어 보시라. 
당신의 상상을 초월하는 오만가지 경우를 경험하게 된다.
맞아서 오는 아이. 
싸워서 오는 아이. 
교복을 입은 채 임신 해 오는 아이. 
배달 오토바이를 타다 다쳐 오는 아이. 
성폭행 당해 오는 아이. 
자살시도 후에 오는 아이. 
그러다 자살에 ‘성공’하여 숨이 멎은 채 오는 아이. 
학대가 의심되나 보호자가 진료를 거부하는 아이. 
자살을 시도했으나 보호자가 나타나지도 않는 아이.
드라마틱한 과정과 결과가 알려지는 아이만 
학대당하는 것이 아니다. 


이 시간, 이 순간, 오늘도, 내일도 
아이들은 학대에 무방비로 노출되어 있다.
그렇기에 그 중심에서 매번 아이들을 마주하는 나는 
OO야 미안해, 와 같은 SNS 챌린지나 
국민청원, 가해자 엄벌을 위한 진정서 같은 것들이 
역설적으로 얼마나 무의미하고 방관자적인지, 
더 솔직한 마음으로는 
그것이 얼마나 가벼운 셀프 속죄의 유희인지 
분명히 말할 수 있다.
소아과 의사들은 보통 스물 예닐곱 즈음 
내가 치료하던 아이의 죽음을 처음으로 경험하고, 
그 순간이 심장 속에 박제되듯 
강렬한 기억으로 영원히 남는다.
그리고 또 한 번의 죽음, 두 번, 세 번의 죽음, 
그렇게 몇 십번의 죽음을 겪어내고 
조금씩 눈물이 덜 날 때 쯤 
소아청소년과 전문의가 되고, 또 부모가 된다.
직업적으로는 점점 더 익숙해지고, 냉정해지지만 
그 때의 나는 엄마가 되어 있기에 
어쩔 수 없이 감정이입이 되고, 가슴이 미어지고, 
눈물이 다시 흐르는 혼란스러운 경험의 반복.
그리고 그 정점에 있는 것이 학대아동의 진료다.
학대당한 아이의 진료를 보고, 전후사정을 파악하고, 
신고를 하고, 진단서를 작성하고, 
입원을 시키거나 혹은 사망선고를 하고, 
그리고 집으로 돌아와 
말간 얼굴로 안기는 내 자식들을 볼 때 
내가 느껴야했던 죄책감은 
말로 설명할 수 없는 종류의 감정.
어쩌면 그래서 나는 저 가벼운 미안해 챌린지가 
더 야속한가보다. 
미안하다는 공허한 말로는 아무 것도 바뀌지 않음을 
너무 잘 알기 때문에.
국민들은 슬픔과 분노를 좇아 쇼를 하고, 
그러면 정책결정자들은 쇼에 부응하기 위해 
더 쇼같은 법안을 발의하고, 
결국 실체없는 보여주기식의 행정이 펼쳐진다.
사실은 아무도 연관되고 싶어하지 않고, 
그래서 결국, 아무도, 아무도 진실로 책임지지 않는다. 
그리고 학대받던 아이들은 대부분 돌볼 사람이 없다는 핑계로 
그 지옥도 속으로 다시 돌아간다.
가해자 엄벌을 탄원할 것이 아니라, 

아동보호국을 정식으로 만들라고, 
보호아동을 위한 시설을 만들고, 
거기에 인력과 예산을 넣으라고 호소해야 한다. 
약사에게도 신고의무를 부여하자 따위의 
되도않은 법령을 발의할 게 아니라 
사설기관과 민간병원에만 속수무책 떠넘겨져있는 
일을 나라에서 챙겨서 하라고.
그런데 지금 세금은 어떤 곳에 사용되는가. 
경찰에는 과연 학대아동과 신고자를 보호 할 
재량과 능력이 있는가. 
의사들은 신고 후 신분비밀과 생업유지 보장이 되는가.
해결책을 제시하고 나부터 행동하고 싶지만 
이런 사건의 중심에서 수십번 같은 상황을 겪고 나면 
도대체 어디서부터 어디까지를 뜯어고쳐야 
이게 가능한가 하는 회의가 든다.
이것저것 다 떠먹여주려다 
오히려 최소한의 사회안전망을 다 찢어버린 
아마추어 사회의 단면이 어제도 오늘도 적나라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