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직 열린우리당 의원이 북한 노동당원으로 지금도 암약 중이라는 ‘경천동지’할 주장이 제기됐다. 다름 아닌 국회 본회의장에서, 다름 아닌 제1야당 국회의원들에 의해서 제기된 주장이다. 이들은 한 주간지가 보도한, 1992년 소위 ‘중부지역당’ 사건 당시 국가안전기획부가 작성한 문건을 근거로 삼았다.
사실이라면 집권여당인 열린우리당의 정체와 직결된 엄청난 사안이다. 사실이 아니라면 한나라당의 색깔공세가 금도를 넘어선 것으로 당의 존립 이유에 의문이 찍힐 일이다.
이미 엉망이 된 국회는 권위주의 정부 시절에도 보기 힘들었던 날것의 색깔시비로 난장판이 돼버렸다.
열린우리당은 ‘백색테러’라며 처음 의혹을 제기한 한나라당 주성영 의원 등의 제명과 지도부의 사죄를 요구했다.
한나라당은 ‘국회프락치 사건’으로 규정, 국가보안법 문제와 연결시키며 정면으로 맞서고 있다.
출구는 간명하다. 한나라당이 밝혀야 한다. 당사자인 이철우 의원은 “재판부 판결 과정에서 중부지역당 관련 공소 사실은 탈락되고, 다른 반국가단체 가입 혐의로 형을 받아 복역했다”고 말했다.
중부지역당 사건의 실체도 불분명하지만, 이 사건과의 연루 혐의에 대해 재판부가 기각했다면 한나라당이 내논 의혹은 뿌리째 흔들린다. 당장 관련 문건, 공소장, 판결문 등이 공개돼 조사하면 진상은 규명될 수 있다.
더욱이 이후 사면복권돼 피선거권을 회복하고, 17대 총선에 출마해 유권자들의 검증까지 받은 상황에서 “현재도 (이의원이 노동당원으로) 암약 중”이라고 한나라당은 주장했다.
한나라당은 스스로 이를 입증해야 한다. 입증하지 못한다면, 결국 면책특권에 숨어 추악한 색깔론으로 여권을 덧씌우고 국가보안법 폐지를 저지하려는 정략이라는 것을 공인하는 꼴이다.
이렇게 온나라를 들쑤셔놓은 ‘어마어마한’ 의혹이 허위로 판명될 경우 관련 의원들은 물론 한나라당은 해체까지 감수하는 응분의 책임을 져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