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기를 마친 사장의 후임이 부임했다.
전임 사장은 무언가를 의욕적으로 성취코자 했다.
하지만 그 와중에 임기를 마침으로 하여 그같은 바람은 그만 연목구어가 되고 말았다.
부임한 사장은 전임 사장을 치지도외하면서
그의 업적과 향후의 계획마저 무산시키기에 이르렀다.
하나 반발이 만만치 않았다.
사원들은 전횡적인 사장의 처사에 극력 반발했다.
물론 신임사장의 심복과 추종자들은 예외였지만.
무려 10달 동안이나 그같은 반발과 반목이 계속되자
회사는 당초의 목표인 성장과 발전은커녕 균형조차 잃고 표류하기 시작했다.
하는 수 없어 결국 신임사장은 전 직원들을 모아놓고 이 문제를 표결에 붙였다.
“전임자의 사업을 계속하는 게 옳냐, 아님 내 주장이 맞냐?”
결과는 전자에 모아졌다.
이로써 비로소 10개월간의 논란은 종결되어 가는 즈음으로 기조가 바뀌었다.
이는 어제 (6월 29일) 세종시 수정법안의 국회 본회의 표결로
확인된 이명박 대통령의 정치적 영향력을 가상적으로 비유해 본 픽션이다.
참으로 지난했고 말도 많았으며 국정의
표류 단초를 제공하기까지 했던 게 바로 세종시 문제였다.
지난 10달 동안 정부와 여당, 그리고 야당과 국민들 거개는 이 문제로 말미암아
허구한 날 이 편 저 편으로 갈리어 설왕설래와 불협화음으로 일관했다.
하지만 이로 인해 남은 건 과연 무엇이었던가?
세종시 수정법안이 어제 민의의 전당이란
국회서 부결됨에 따라 지난 10개월간의 정치적 논란은 사실상 종결됐다.
그러나 이 문제는 단순히 넘어갈 사안이 아니다.
이는 많은 교훈과 숙제를 아울러 남겼는데 우선 사장,
즉 통치자의 공약은 반드시 지켜져야 마땅하다는 것이다.
비유가 적당할지는 모르겠으되 여하튼
노태우 전 대통령이 공약했던 고속철을 눈여겨보자.
후임 대통령이 전임 대통령의 공약이었음에 이를 우습게 알곤
그래서 중도에 거둬들이고 공사 중이었던 고속철도의 공사마저 죄 철거했더라면
오늘날처럼 서울서 부산까지 순식간에 달려가는 고속철도는 과연 구경이나 할 수 있었을까?
6.2 지방선거에서 참패한 것도 부족하여 자당(自黨)의 적지않은
의원들마저 반기를 들어 세종시 수정안 관철을 반대한 한나라당의
오늘날 초상은 이명박 대통령의 레임덕 가속을 의미하는 또 다른 증표이다.
진부한 얘기겠지만 신뢰만큼 중차대한 건 다시없다.
세종시 ‘문제’를 원안대로 그대로 추진하고 대신에 그 귀한 시간에
국리민복(國利民福)을 위해 썼더라면 오늘날과 같은
가리산지리산의 정국과 민심 현실 또한 도래치 않았을 것이다.
‘민심은 천심이다’는 구태여 사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