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밤중에도 열기가 식지 않는 열대야가 이어지면서 잠을 설치는 날이 잦아졌다.
그렇다고 낮 동안 내내 켜 놓은 에어컨을 다시 켜자니 벌써부터 머리가 지끈거리고 몸이 뻐근하다.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불면의밤을 지새우게 하는 열대야. 이런 열대야에는 무엇보다 건강관리가 필요하다
열대야에 걸리기 쉬운 질병과 예방법을 알아본다.
여름방의 골칫거리 불면증
우리 인체는 낮보다 밤에 체온이 낮아진다. 그러나 한밤에도 25℃를 넘는 열대야는 밤에도 체온을 떨어뜨리지
않아 흥분된 각성상태를 지속시킨다. 그러면 말초혈관이 확장해 피부의 온도가 높아지는데, 이때 생기는 땀은
불쾌감을 생기게 해 더욱 잠을 이룰 수 없게 한다. 이러한 수면장애는 일상생활의 리듬을 깨뜨리고 피로감과
졸음을 늘여 낮동안의 작업능률을 떨어뜨릴 뿐 아니라 다음날 밤까지도 제대로 잠을 이루지 못하게 만든다.
이렇게 계속되는 열대야 속에서 숙면 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한다.
열대야를 이기는 숙면 노하우
샤워타이밍을 맞춰라
잠들기 1-2시간전 미지근한 온도로 목욕 또는 샤워를 하면 더위로 지친 몸이 식어 신체의 흥분이 가라앉고 피로가 회복된다. 그러나 잠들기 직전에 하는 샤워는 오히려 수면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가능한 샤워 타이밍을 잘 맞추는 것이 좋다.
침실은 미리 서늘하게 만들라
침실이 덥다면 숙면에 방해가 되는 것이 사실. 때문에 잠들 무렵에 선풍기나 에어컨을 미리 가동시켜 방을 서늘하게 만들어놓자. 이때 너무 오랫동안 냉방기를 작동하면 호흡기가 건조해져 숙면에 방해가 될 뿐 아니라 감기를 앓을 수 있으므로 잠을 잘때는 냉방을 끄는 것이 좋다.
잠들기 전 출출할 땐 우유나 키위를 먹어라
음식을 먹으면 인체의 소화시스템이 가동되면서 열이 발생하여 체온이 상승한다. 따라서 야식은 자제하고 저녁식사도 적당량 또는 적은 양을 섭취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허기가 진다면 이 또한 취침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에 출출할 땐 약간의 허기만 달랠 수 있도록 따뜻한 우유를 한잔 정도 마시거나 칼로리가 낮은 생식을 한 잔 먹는 것이 좋다. 더불어 칼슘과 마그네슘이 풍부한 키위 역시 숙면을 돕는 좋은 과일이다.
침대or잠자리를 각별히 신경써라
침실이 서늘하고 샤워타이밍을 잘 맞추더라도 침대or잠자리가 불편하면 말짱 도루묵이다.
침대를 잘 선택해야 한다. 요즘 다양한 침대들이 나오면서 오히려 잠자리리를 더욱더 불편케 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대응하여 에이스침대 같은 경우는 다른 침대들 보다 땀흡수나 위생적으로도 그렇고 많은 기능들을 내놓
았다고 한다. 열대야가 숙면을 많이 방해하는데 이런 기능적인 침대를 사용하여 열대야를 이기는 방법도 매우
현명한 방법이다.
^^
오뉴월의 감기를 부르는 냉방병
냉방병은 냉방된 실내와 그렇지 않은 외부와의 온도 차이에 인체가 적응하지 못해 생겨나는 질환으로,
냉방으로 인한 실내외 온도차가 5~8℃ 이상 지속하는 환경에 오래 거주하면 자율신경계 기능 이상이 생기게
된다. 또한 에어컨 냉각수의 청결상태가 불량하면 세균(레지오넬라균)에 오염되는데 이 세균이 냉방병의 원인
이 되기도 한다. 이외에도 환기 부족으로 축적된 유해물질이 냉방병을 일으키기도 한다. 여름철 한번씩은 흔하
게 겪게 되는 냉방병은 두통이나 머리가 무거운 두중감 그리고 전신 피로감, 소화불량, 설사, 근육통 등의 전
신적인 증상이 나타난다.
냉방병을 예방하기 위해서 사무실이나 가정에서 사용하는 에어컨은 될 수 있는 대로 1-2시간 가동한 후 30
분 정도 정지시키고 반드시 환기를 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덥다고 무작정 실내온도를 낮추기 보다는 기온이
25℃ 이하로 내려가지 않도록 하고 실내외의 기온차가 5℃를 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