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 104

의사는 진료현장에 계속 남아있습니다.


BY 아기새애인 2000-08-12

현 정부의 졸속 의약분업안...
이대로 실시되면 의사가 굶어죽는 게 문제가 아니라
국민건강이 말이 아니게 됩니다.

약사는 의사가 아닙니다.
정부는 국민건강을 의사아닌 약사에게 맡기려고 하고 있습니다.
정부의 의약분업안은 앞으로 환자들이 의사들을 찾아가는 것보다
약사들을 찾아가는 것이 쉽도록 한 안입니다. 약사들에게 가서
직접 진료, 조제를 받는 것이 병원들렀다 약국왔다하는 것보다
더 싸고 시간도 절약할 수 있어 점차 그러한 형태가 늘어 날 것으로 보이며, 정부도 이를 노리는 것 같습니다.
그러면 국민들이 의료보험(국가재정)에서 보조를 받는 것이 아니라 그냥 제 돈 내고 치료를 받는 것이라 정부는 돈을 아낄 수 있게 되는 거죠. 그냥 눈감아 주리라는 거 다 짐작할 수 있겠지요.

그래서 정부의 속을 뻔히 아는 의사들이 가만 있을 수 없어
나서게 된 것입니다.

그래도 환자를 버려서야.. 이런 소리들이 많이 들립니다.
지당하신 말씀입니다.

언론의 보도만 보면 의사들이 환자들을 돌보지 않아 많은
문제들이 생겨나고 있다고들 합니다.

하지만 이건 사실이 아닙니다.
응급환자나 중환자 등에 대한 조치는 사태이전과 거의
다름없는 수준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오히려, 사실상의 근무인 자원봉사 형식으로 환자들을 돌보고 있는 종합병원이 많습니다 (이건 지난 파업때도 시행했던 것인데 이번에 보다 활성화된 것임).

의사가 환자를 돌보는 것은 부모가 아이들을 돌보는 것과 마찬가지로 본능에 가까운 것입니다.
부모에게서 아이를 억지로 떼내어 '양육분업'을 하여 고아원에 맡길테니 앞으론 아이들을 한 달에 한 번만 만나라고 하면
눈 뒤짚혀 지지 않는 부모는 없을 것입니다.
고아원에서 아무리 잘 해 줘도 부모만큼은 못 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정부의 금전적인 이익이나 고아원의 잇권... 이런 것 때문에 그런 되먹지 않은 제도를 시행하게 된 것을 안 부모는
더더욱 절대로 가만 있지 못할 것입니다.

의사도 부모의 마음이라 환자를 버리지 못합니다.
또 누구보다도 현재의 사태를 가슴아파 하는 것이 의사들입니다.

하지만 정부의 의도대로 잘못된 제도가 정착이 되는 것을
막기 위해 눈물을 머금고 진료현장에서 떠날 수 밖에 없었던
것입니다.

정부는 더 이상 의사들을 자극하지 말고, 임의조제와 대체조제 금지를 확실히 하는 등 진짜 선진국형으로 의료의 틀을 완전히 새로 짜든지, 그게 현실적으로 어렵다면, 현 정부의 의약분업 안을 파기해야만 합니다.

그것만이 의사들을 돌아오게 하는 유일한 방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