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9911 |
작성자 : 버들 |
작성일 : 2025-08-24
369910 |
작성자 : 버들 |
작성일 : 2025-08-24 | 조회수 : 3,283
369909 |
작성자 : 어붕 |
작성일 : 2025-08-24 | 조회수 : 3,205
369908 |
작성자 : 아즈메 |
작성일 : 2025-08-24 | 조회수 : 3,112
369907 |
작성자 : 혼자노는늑대 |
작성일 : 2025-08-24 | 조회수 : 3,190
369906 |
작성자 : 가으리 |
작성일 : 2025-08-24 | 조회수 : 2,814
글루텐은 밀, 보리, 호밀 등에 들어 있는 단백질이다. 셀리악병이나 글루텐 민감증이 있는 경우 피해야 한다. 그런데 이런 의학적 사유 없이 글루텐 프리 제품을 찾는 이들이 늘고 있다. 문제는 ‘글루텐 프리’라는 말이 ‘저칼로리’나 ‘저염식’을 의미하진 않는다는 점이다. 붓기의 주범은 염분글루텐 프리 가공식품은 의외로 짠 경우가 많다. 밀가루가 빠지면 식감도 맛도 심심해지기 때문에 제조사 입장에서는 염분으로 빈자리를 메우는 것이다. 또한 일부 글루텐 프리 간편식에는 나트륨 보충제로 쓰이는 ‘소금 대체제’가 숨어 있는데, 이 역시 체내 수분 저류를 유발할 수 있다.식이섬유 섭취량 확인글루텐 프리를 시작하면서 자연식을 시도하면 좋겠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마트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글루텐 프리’ 제품 대부분은 가공 빵, 과자, 시리얼, 면 같은 탄수화물 위주의 음식이고, 이런 식단은 자칫 채소, 해조류, 콩류 같은 섬유질 원천이 빠질 수 있다.
369905 |
작성자 : 진돌이 |
작성일 : 2025-08-24 | 조회수 : 2,740
369904 |
작성자 : astre |
작성일 : 2025-08-23 | 조회수 : 3,799
369903 |
작성자 : -라임향기 |
작성일 : 2025-08-23 | 조회수 : 3,918
369902 |
작성자 : cnftjr |
작성일 : 2025-08-23
369901 |
작성자 : cnftjr |
작성일 : 2025-08-23 | 조회수 : 4,470
369900 |
작성자 : 어붕 |
작성일 : 2025-08-23 | 조회수 : 3,816
369899 |
작성자 : 아즈메 |
작성일 : 2025-08-23 | 조회수 : 3,953
369898 |
작성자 : 버들 |
작성일 : 2025-08-23
369897 |
작성자 : 버들 |
작성일 : 2025-08-23 | 조회수 : 3,840
369896 |
작성자 : 가으리 |
작성일 : 2025-08-23 | 조회수 : 3,735
369895 |
작성자 : 가로등 |
작성일 : 2025-08-23 | 조회수 : 3,708
369894 |
작성자 : 진돌이 |
작성일 : 2025-08-23 | 조회수 : 3,183
369893 |
작성자 : astre |
작성일 : 2025-08-22 | 조회수 : 2,914
369892 |
작성자 : cnftjr |
작성일 : 2025-08-22